728x90

BOJ 1769 3의 배수

문제

문제가 잘 풀리지 않을 때,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조금만 다르게 가지면 문제가 쉽게 풀리는 경험을 종종 해 보았을 것이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 중 하나로 우리가 풀고 싶은 문제를 좀 더 쉬운 문제로 바꾸어 풀어 보는 방법이 있다.

소위 "다른 문제로 바꾸어 풀기"라는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 풀고자 하는 문제를 다른 문제로 변환한다.
    2. 변환된 문제의 답을 구한다.
    3. 구한 답을 원래 문제의 답으로 삼는다.
    
이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다음의 초등학교 수학 수준의 예를 들어 보자.

문제 1. "양의 정수 X는 3의 배수인가?"

이 문제를 아래와 같이 변환하는데, X의 각 자리의 수를 단순히 더한 수 Y를 만든다. 

예를 들어 X가 1107이었다면, Y는 1+1+0+7=9가 된다. 

그리고 Y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문제를 생각한다.

문제 2. "Y는 3의 배수인가?"

위의 문제 1의 답은 아래의 문제 2의 대답과 일치한다. 위의 예의 경우, Y=9는 3의 배수이므로 X=1107 역시 3의 배수가 되는 것이다. 

214는 각 자리수의 합 2+1+4=7이 3의 배수가 아니므로 3의 배수가 아니다.

문제 1을 풀고 싶으면 문제 2로 변환을 해서 문제 2의 답을 문제 1의 답으로 삼으면 된다. 

일반적으로 Y는 X보다 크기가 작으므로, 문제 2가 더 쉬운 문제가 된다.

당신이 알고 있는 3의 배수는 한 자리 수밖에 없다고 가정하자. 

즉, 문제 변환의 과정을 여러 번 거치다 보면 Y가 한 자리 수가 되는 순간이 있게 되는데, 그렇게 될 때까지 문제 변환을 반복한다는 뜻이다. 

변환 후의 Y가 3, 6, 9 중 하나이면 원래의 수 X는 3의 배수이고, Y가 1, 2, 4, 5, 7, 8 중 하나이면 원래의 수 X는 3의 배수가 아니다.

큰 수 X가 주어졌을 때, 앞에서 설명한 문제 변환의 과정을 몇 번 거쳐야 Y가 한 자리 수가 되어, 

X가 3의 배수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게 될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2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 큰 자연수 X가 주어진다. 

X는 1,000,000자리 이하의 수이다. 

수는 0으로 시작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 변환의 과정을 몇 번 거쳤는지를 출력한다. 

이 수는 음이 아닌 정수가 되어야 한다. 

둘째 줄에는 주어진 수가 3의 배수이면 YES, 아니면 NO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234567

예제 출력

3
NO

힌트

1234567 -> 28 -> 10 -> 1 (NO)

풀이

def modify(string, cnt) :
    if len(string) > 1 :
        cnt += 1
        total = 0
        for i in string :
            total += int(i)
        modify(str(total), cnt)
    else : 
        if int(string) % 3 == 0 :
            print(cnt)
            print('YES')
        else : 
            print(cnt)
            print('NO')

n = input()
cnt = 0

modify(n, cnt)
728x90
728x90

BOJ 17478 재귀함수가 뭔가요?

문제

평소에 질문을 잘 받아주기로 유명한 중앙대학교의 JH 교수님은 학생들로부터 재귀함수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많은 질문을 받아왔다.

매번 질문을 잘 받아주셨던 JH 교수님이지만 그는 중앙대학교가 자신과 맞는가에 대한 고민을 항상 해왔다.

중앙대학교와 자신의 길이 맞지 않다고 생각한 JH 교수님은 결국 중앙대학교를 떠나기로 결정하였다.

떠나기 전까지도 제자들을 생각하셨던 JH 교수님은 재귀함수가 무엇인지 물어보는 학생들을 위한 작은 선물로 자동 응답 챗봇을 준비하기로 했다.

JH 교수님이 만들 챗봇의 응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교수님이 출력을 원하는 재귀 횟수 N(1 ≤ N ≤ 50)이 주어진다.

출력

출력 예시를 보고 재귀 횟수에 따른 챗봇의 응답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

예제 출력 1

어느 한 컴퓨터공학과 학생이 유명한 교수님을 찾아가 물었다.
"재귀함수가 뭔가요?"
"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____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____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____"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네"
________라고 답변하였지.
____라고 답변하였지.
라고 답변하였지.

예제 입력 2 

4

예제 출력 2

어느 한 컴퓨터공학과 학생이 유명한 교수님을 찾아가 물었다.
"재귀함수가 뭔가요?"
"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____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____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____"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________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________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____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________"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____________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____________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________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____________"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네"
________________라고 답변하였지.
____________라고 답변하였지.
________라고 답변하였지.
____라고 답변하였지.
라고 답변하였지.

풀이

def recursive(i):
    line = '____'*(i)
    print(line + '"재귀함수가 뭔가요?"')
    if i == n :
        print(line + '"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네"')
        print(line + '라고 답변하였지.')
        return
    else : 
        print(line + '"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print(line + '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print(line + '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recursive(i+1)
    print(line + '라고 답변하였지.')

n = int(input())
print('어느 한 컴퓨터공학과 학생이 유명한 교수님을 찾아가 물었다.')
recursive(0)
728x90
728x90

BOJ 1991 트리순회

문제

이진 트리를 입력받아 전위 순회(preorder traversal), 중위 순회(inorder traversal), 
후위 순회(postorder traversal)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이진 트리가 입력되면,

전위 순회한 결과 : ABDCEFG // (루트) (왼쪽 자식) (오른쪽 자식)
중위 순회한 결과 : DBAECFG // (왼쪽 자식) (루트) (오른쪽 자식)
후위 순회한 결과 : DBEGFCA // (왼쪽 자식) (오른쪽 자식) (루트)
가 된다.

시간 제한 : 2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는 이진 트리의 노드의 개수 N(1 ≤ N ≤ 26)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각 노드와 그의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가 주어진다. 
노드의 이름은 A부터 차례대로 알파벳 대문자로 매겨지며, 항상 A가 루트 노드가 된다. 
자식 노드가 없는 경우에는 .으로 표현한다.

출력

첫째 줄에 전위 순회, 둘째 줄에 중위 순회, 셋째 줄에 후위 순회한 결과를 출력한다. 
각 줄에 N개의 알파벳을 공백 없이 출력하면 된다.

예제 입력

7
A B C
B D .
C E F
E . .
F . G
D . .
G . .

예제 출력

ABDCEFG
DBAECFG
DBEGFCA

풀이

# 전위 순회
def preorder(root) :
    if root != '.' :
        print(root, end='')
        preorder(tree[root][0])
        preorder(tree[root][1])

# 중위 순회
def inorder(root) :
    if root != '.' :
        inorder(tree[root][0])
        print(root, end='')
        inorder(tree[root][1])

# 후위 순회
def postorder(root) :
    if root != '.':
        postorder(tree[root][0])
        postorder(tree[root][1])
        print(root, end='')

n = int(input())
tree = {}

for i in range(n) :
    root, l_node, r_node = input().split()
    tree[root] = [l_node, r_node]

preorder('A')
print()
inorder('A')
print()
postorder('A')
728x90
728x90

BOJ 11729 하노이 탑 이동 순서

문제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256 MB

세 개의 장대가 있고 첫 번째 장대에는 반경이 서로 다른 n개의 원판이 쌓여 있다. 
각 원판은 반경이 큰 순서대로 쌓여있다. 
이제 수도승들이 다음 규칙에 따라 첫 번째 장대에서 세 번째 장대로 옮기려 한다.

1. 한 번에 한 개의 원판만을 다른 탑으로 옮길 수 있다.
2. 쌓아 놓은 원판은 항상 위의 것이 아래의 것보다 작아야 한다.

이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이동 순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단, 이동 횟수는 최소가 되어야 한다.

아래 그림은 원판이 5개인 경우의 예시이다.

입력

첫째 줄에 첫 번째 장대에 쌓인 원판의 개수 N (1 ≤ N ≤ 2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옮긴 횟수 K를 출력한다.
두 번째 줄부터 수행 과정을 출력한다. 
두 번째 줄부터 K개의 줄에 걸쳐 두 정수 A B를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하는데, 
이는 A번째 탑의 가장 위에 있는 원판을 B번째 탑의 가장 위로 옮긴다는 뜻이다.

예제 입력

3

예제 출력

7
1 3
1 2
3 2
1 3
2 1
2 3
1 3

풀이

def hanoi(n, a, b):
    if n > 1:
        hanoi(n-1, a, 6-a-b)              
    print(a, b)

    if n > 1:
        hanoi(n-1, 6-a-b, b)

n = int(input())

print(2**n -1)                               
hanoi(n, 1, 3)
728x90
728x90

1953 : (재귀함수) 삼각형 출력하기 1

문제 설명

n이 입력되면 다음과 같은 삼각형을 출력하시오.

예)

n 이 5 이면

*
**
***
****
*****
이 문제는 반복문 for, while 등을 이용하여 풀수 없습니다.

금지 키워드 : for while goto
시간 제한 : 1 Sec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길이 n이 입력된다.(1<=n<=150)

출력

삼각형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3

출력 예시

*
**
***

풀이

def triangle(x):
    if x == 1:
        return print('*')
    triangle(x-1)
    return print('*'*x)

n = int(input())
triangle(n)
728x90
728x90

1929 : (재귀함수) 우박수 (3n+1) (reverse)

문제 설명

콜라츠의 추측, 3n+1 문제, 우박수 문제라고 불리는 이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떤 자연수 n이 입력되면,

2. n이 홀수이면 3n+1을 하고,

3. n이 짝수이면 n2를 한다.

4. 이 n이 1이 될때까지 2 3과정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5는 5 → 16 → 8 → 4 → 2 → 1 이 된다.

그런데 이번에는 이 순서의 역순을 출력하고자 한다.

즉, 1 2 4 8 16 5 가 출력되어야 한다.

이 처럼 어떤 자연수 n이 입력되면 위 알고리즘에 의해 1이 되는 과정을 모두 출력하시오.

이 문제는 반복문 for, while 등을 이용하여 풀수 없습니다.

금지 키워드 : for while goto
시간 제한 : 1 Sec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자연수 n이 입력된다.(1<=n<=10,000,000)

출력

3n+1의 과정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5

출력 예시

1
2
4
8
16
5

풀이

def wubak(n) :
    
    if n==1 :
        return print(1)

    if n%2==1 :
        wubak(3*n+1)
    else :
        wubak(n//2)
    return print(n)

N = int(input())

wubak(N)
728x90
728x90

1928 : (재귀함수) 우박수 (3n+1) (basic)

문제 설명

콜라츠의 추측, 3n+1 문제, 우박수 문제라고 불리는 이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떤 자연수 n이 입력되면,

2. n이 홀수이면 3n+1을 하고,

3. n이 짝수이면 n2를 한다.

4. 이 n이 1이 될때까지 2 3과정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5는 5 → 16 → 8 → 4 → 2 → 1 이 된다.

이 처럼 어떤 자연수 n이 입력되면 위 알고리즘에 의해 1이 되는 과정을 모두 출력하시오.

이 문제는 반복문 for, while 등을 이용하여 풀수 없습니다.

금지 키워드 : for, while, goto
시간 제한 : 1 Sec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자연수 n이 입력된다.(1<=n<=10,000,000)
단, 3n+1이 되는 과정에서 int범위를 넘는 수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출력

3n+1의 과정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5

출력 예시

5
16
8
4
2
1

풀이

def wubak(n) :
    print(n)
    
    if n==1 :
        return 1

    if n%2==1 :
        return wubak(3*n+1)
    else :
        return wubak(n//2)

N = int(input())

wubak(N)
728x90
728x90

1920 : (재귀함수) 2진수 변환 

문제 설명

어떤 10진수 n이 주어지면 2진수로 변환해서 출력하시오.

예)

10    ----->  1010

0    ----->  0

1    ----->  1

2    ----->  10

1024    ----->  10000000000

이 문제는 반복문을 이용하여 풀 수 없습니다.

금지 키워드 : for, while, goto
시간 제한 : 1 Sec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10진수 정수 n이 입력된다.

(0<=n<=2,100,000,000)

출력

2진수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입력 예시

7

출력 예시

111

풀이

def binary(n):
    global res
    if n // 2 == 1:
        res.append(n//2)
        res.append(n % 2)
    elif n // 2 == 0:
        res.append(n % 2)
    else:
        binary(n // 2)
        res.append(n % 2)
    return ''.join(map(str,res))
N = int(input())
res= []
print(binary(N))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