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
반응형

2025년 정보처리기사 시험 일정 및 준비 가이드 

정보처리기사는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설계 등 다양한 IT 분야에서 요구되는 대표적인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1. 시험 일정

필기시험 (CBT)

 

회차 접수 기간 시험 기간 합격자 발표
제1회 1.13(월) ~ 1.16(목) 2.7(금) ~ 3.4(화) 3.12(수)
제2회 4.14(월) ~ 4.17(목) 5.10(토) ~ 5.30(금) 6.11(수)
제3회 7.21(월) ~ 7.24(목) 8.9(토) ~ 9.1(월) 9.10(수)
 

※ CBT(Computer Based Test) 방식이며, 시험장과 시간대를 접수 시 선택
※ 접수는 각 회차 첫날 오전 10시 ~ 마지막 날 오후 6시까지 진행

실기시험

 

회차 접수 기간 시험 기간 합격자 발표
제1회 3.24(월) ~ 3.27(목) 4.19(토) ~ 5.9(금) 6.5(목) 또는 6.13(금)
제2회 6.23(월) ~ 6.26(목) 7.19(토) ~ 8.6(수) 9.5(금) 또는 9.12(금)
제3회 9.22(월) ~ 9.25(목) 11.1(토) ~ 11.21(금) 12.5(금) 또는 12.24(수)
 

 


2. 응시 자격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에도 응시 자격이 존재합니다.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합니다.

– 관련 학과 졸업(예정 포함)
– 동일/유사 분야 산업기사 자격 보유 + 1년 이상 실무 경력
– 기능사 자격 보유 + 3년 이상 실무 경력
– 학점은행제 인정학점 106학점 이상 이수 등

※ 실기시험은 필기합격자만 응시 가능하며, 자격요건 증빙 서류를 실기 접수 마감일까지 제출해야 합니다.

출처: 큐넷 자격정보 > 기사 등급 응시자격 안내

728x90

3. 시험 과목 및 합격 기준

필기

  • 총 5과목, 과목당 20문항 (총 100문항)
    1. 소프트웨어 설계
    2. 소프트웨어 개발
    3. 데이터베이스 구축
    4.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5.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 시험 시간: 150분
  • 형식: 객관식 4지선다형 (CBT 방식)
  • 합격 기준:
    – 각 과목 40점 이상 (과락 있음)
    –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형식: 필답형(단답형 + 서술형 혼합), 총 20문항
  • 시험 시간: 150분
  • 합격 기준: 전체 평균 60점 이상 (과락 없음)

4. CBT 시험 유의사항

– 접수 시 시험장·시간대 선택, 조기 마감될 수 있음
– 회차마다 문제가 다름 (문제은행 방식)
– 문제 건너뛰기·수정 가능, 단 시험 종료 후에는 수정 불가
– 시험 중 퇴실 불가 (퇴실 시 무효 처리 가능성 있음)
– 실물 신분증 지참 필수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5. 준비 전략 요약

필기

– 각 과목 최소 40점 이상 확보
– 평균 60점 이상을 목표로 과목별 기출 유형 반복 학습
– CBT 방식에 익숙해지도록 모의응시 연습 권장

실기

– 기출 중심 서술형 작성 연습
– 키워드 중심 요약과 암기 병행
– 제한시간 내 서술 구조 훈련 필수

공통

– 실기 접수 전 자격 서류 미리 준비
– 회차 간 간격 고려하여 연간 시험 계획 수립

– 관련 도서 추천

 

2025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본서, 길벗, 길벗알앤디 저 2025 이기적 정보처리기사 필기 + 실기 올인원 세트 전 2권, 영진닷컴 2025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길벗 2025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본서, 길벗 2025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본서, 수제비출판사 2025 시나공 퀵이지 정보처리기사 필기 단기완성, 길벗 수제비출판사 2025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본서, 수제비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Windows + H 누르니 한글이 이상해져요

한글 자음/모음 분리 현상 해결 방법 총정리

이런 증상 겪어보셨나요?

한글을 입력할 때 “ㄱㅏㄴㅏㄷㅏ”처럼 자음과 모음이 따로따로 입력되신다면,

실수로 Windows + H 단축키를 눌러 음성 받아쓰기 기능이 켜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원인: Windows + H 단축키

Windows + H는 Microsoft의 음성 받아쓰기(Dictation) 기능을 켜는 단축키입니다.

하지만 이 기능은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입력기가 꼬이면서 한글이 제대로 조합되지 않고 자음·모음이 따로 입력됩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면?

  • 한글이 'ㄱ ㅏ ㄴ ㅏ ㄷ ㅏ'처럼 풀어져서 입력됨
  • 한/영 전환이 안 먹히거나 한글이 안 써짐
  • 메모장, 웹 브라우저 등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동일 증상 발생

해결 방법 3가지

방법 1. 이모지 창 열기 (가장 간단)

Windows + . (마침표) 키를 눌러 이모지 창을 열고 바로 닫습니다.

→ 입력기가 초기화되며 문제가 해결됩니다.

방법 2. 작업 관리자에서 입력기 종료

Ctrl + Shift + Esc → 작업 관리자 실행

Microsoft Text Input Application 항목 선택 → 작업 끝내기

→ 입력기 프로세스를 강제로 재시작하는 방식입니다.

방법 3. 터치 키보드 실행 후 닫기

작업표시줄에서 우클릭 → 터치 키보드 단추 표시 선택

→ 터치 키보드 열기 → 아무 글자 입력 후 닫기

→ 입력기 초기화와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보너스: Windows + H 단축키 차단 방법

Microsoft의 PowerToys 도구를 사용해 Windows + H 단축키 자체를 막을 수 있습니다.

  1. PowerToys 설치 후 Keyboard Manager 실행
  2. ‘키 조합 다시 매핑’ 선택
  3. Windows + H → 결과 없음(비활성화) 설정

Windows 11 업데이트

Window 10의 종료가 임박이므로 가능하다면 Window 11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MS Windows 11 Home FPP(USB)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11 Home 처음사용자용 FPP USB HAJ-00095 [한국정품인증점] MS 윈도우 11 프로 Windows Pro FPP 영구사용 USB설치 제품키 + 엑셀 단축키 마우스패드, 단품

마무리

‘한글 자음/모음이 따로 입력되는 현상’은 당황스럽지만, 대부분 단축키 하나로 인한 문제입니다.

오늘 소개한 3가지 해결 방법만 기억해두면 금방 고칠 수 있어요.

필요하다면, Windows + H 단축키 자체를 비활성화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정보처리기사 시험 일정 및 준비 가이드  (5) 2025.06.16
라이엇 api 승인 완료  (0) 2022.08.17
라이엇 api 신청 방법(롤 api)  (0) 2022.08.01
ASCII Code 아스키 코드란?  (0) 2022.02.24
JSON이란  (0) 2022.02.05
728x90
반응형

라이엇 api 승인

이전에 신청한 라이엇 api가 승인이 되었다

https://doitdoik.tistory.com/229

 

라이엇 api 신청 방법(롤 api)

라이엇 api 신청 방법 라이엇 개발자 페이지 접속 https://developer.riotgames.com/ DEVELOPMENT API KEY는 임시 개발 키로 기간이 굉장히 짧고 주기적으로 키를 재할당 받아야한다. REGISTER PRODUCT를 클릭 P..

doitdoik.tistory.com

라이엇 api 승인 완료 화면

  • 승인이 완료 되면 Status가 Approved로 바뀐다.
  • 신청한 App의 id와 API Key가 할당 되었다.
  • 개인 토이프로젝트에 사용할 url도 등록해 주었다.
  • 할당받은 API Key를 사용해 이제 매번 인증을 갱신할 필요가 없다.

API KEY 

  • 할당 받은 API KEY를 사용해 API 정보를 받아올 수 있다.
  • SUMMONER-V4 => 소환사 정보를 받아 올 수 있다.
  • LEAGUE-V4 => 리그정보를 받아온다.
  • MATCH-V5 => 게임별 상세 정보를 받아온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라이엇 api 신청 방법

라이엇 개발자 페이지 접속

https://developer.riotgames.com/

DEVELOPMENT API KEY는 임시 개발 키로 기간이 굉장히 짧고 주기적으로 키를 재할당 받아야한다.

REGISTER PRODUCT를 클릭

 

 

PERSONAL API KEY 클릭

 

약관 수락

자신이 사용할 내용을 적는다.

 

승인처리가 나면 Pending상태에서 승인상태로 바뀐다.

1~2주사이에 승인처리가 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아스키 코드(ASCII Code)란

ASCII - (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 )  
아스키코드는 미국 ANSI(미국 국가표준 협회)에서 표준화한 정보 교환용 7비트 부호체계. 

  • 영문 알파벳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자 인코딩.
  • 컴퓨터와 통신장비를 비롯하여 문자를 많이 사용되는 장치에 사용.
  • 대부분의 문자 인코딩이 아스키코드에 기초를 두고 있다. 
  • 영문 키보드로 입력 할수있는 모든 기호들이 할당되어 있어 어느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 

 

아스키 코드표(ASCII Code Table)

온라인에서 많이 참조하는 이재욱님의 아스키코드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JSON이란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라는 의미의 축약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할 때 많이 사용되는 경량의 DATA 교환 형식.

JSON 표현식은 사람과 기계 모두 이해하기 쉬우며 용량이 작다.

JSON은 데이터 포맷일 뿐이며 어떠한 통신 방법도, 프로그래밍 문법도 아닌 단순히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현 방법이다.

 

JSON 특징

1. JSON은 자바스크립트를 확장하여 만들어짐

2. JSON은 자바스크립트 객체 표기법을 따름

3. JSON은 사람과 기계가 모두 읽기 편하도록 고안됨

4. JSON은 프로그래밍 언어와 운영체제에 독립적

 

JSON 자료형

Number JavaScript에서 배정되는 정밀한 부동 소수점 형식
String 큰 따옴표를 사용한 유니코드
Boolean true 또는 false
Array 연속된 값들의 정렬
Value string, number, true 또는 false, null 등
Object 정렬되지 않은 key:value 콜렉션
Whitespace 토큰쌍 사이에서 사용 가능
null 비었음

 

JSON 예제

{
  "이름":"유재석",
  "나이":51,
  "주소":"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방송":["런닝맨", "유퀴즈", "놀면뭐하니"],
  "가족":{
    "부인":"나경은",
    "아들":"유지호",
    "딸":"유나은"
  }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2년 글로벌 웹 서버 시장 점유율

 

 

과거에는 Apache가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

하지만 2022년 현재 글로벌 점유율을 보면 Nginx가 상당히 많이 치고 올라왔다.

 

Nginx

  • 비동기 Event-Driven 기반 구조.
  • 다수의 연결을 효과적으로 처리 가능.
  • 대부분의 코어 모듈이 Apache보다 적은 리소스로 빠르게 동작 가능.
  • 작은 쓰레드로 클러이언트의 요청 처리 가능

 

Nginx Event-Driven 방식

Nginx의 Event-Driven 방식

Apache의 C10K(한 시스템에 동시 접속자수가 1만명이 넘어갈 때 효율적방안) 문제점을 보완한다.

 

Apache

  • 쓰레드 / 프로세스 기반 구조로 한개의 요청을 쓰레드 하나가 처리하는 구조
  • 사용자가 많으면 많은 쓰레드 생성, 메모리 및 CPU 낭비가 심함
  • 하나의 쓰레드 = 하나의 클라이언트

 

Apache 쓰레드 방식

Apache의 Thread 방식

요청이 많을수록 쓰레드를 생성하므로 CPU와 메모리 사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성능 저하가 있을 수 있다.

 

Apache & Nginx 장점

  • Apache는 Nginx 에 비해 모듈이 다양하다.
  • Apache는 안정성, 확장성, 호환성을 장점으로 들자면, Nginx 는 성능이 우세하다는 장점이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