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L VPN과 IPSec VPN의 차이점
VPN은 외부에서 내부망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이 중 SSL VPN과 IPSec VPN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며,
접속 방식, 동작 계층, 방화벽 호환성 등에서 차이를 가진다.
아래 표는 두 방식의 주요 차이점을 정리한 내용이다.
SSL VPN vs IPSec VPN
항목 | SSL VPN | IPSec VPN |
동작 계층 | 전송 계층 (TCP 443) | 네트워크 계층 (IP) |
접속 방식 | 브라우저 또는 전용 클라이언트 | 장비 또는 OS에 구성 필요 |
터널 구성 | TLS 기반 세션 후 가상 인터페이스 생성 | IKE 키 교환 후 ESP로 암호화 |
사용 환경 | 재택근무, 임시 원격 접속 | 본사-지사, 장비 간 고정 연결 |
방화벽 통과 | 대부분 환경에서 바로 통과 가능 | 포트·프로토콜 제한으로 설정 필요 |
성능·안정성 | 접근성 우수, 성능은 상대적으로 낮음 | 안정적이고 성능 중심 구조 |
정리
SSL VPN은 접속 유연성과 환경 제약 회피에 강점이 있고,
IPSec VPN은 성능과 장비 간 안정적 연동이 필요한 환경에 적합하다.
접속 목적과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Network &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Security] SSL VPN 구조 및 동작 방식 (1) | 2025.07.29 |
---|---|
[Network & Security] IPSec VPN 구조 및 프로토콜 흐름 (1) | 2025.07.21 |
[Network & Security] 보안장비 구성 흐름: L2 ~ L7 역할별 정리 (0) | 2025.07.08 |
[Network & Security] 방화벽 Zone 구조와 정책 처리 원리 (0) | 2025.06.23 |
[Network & Security] VPN 인증 방식의 종류와 특징 (0) | 2025.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