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바일 보안의 주요 기능
모바일 보안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단순히 악성코드를 차단하는 수준을 넘어, 앱 자체와 실행 환경을 종합적으로 지키는 기능이 필요하다.
- 사용자 데이터 보호
금융정보, 인증정보 등 민감 데이터의 안전한 저장, 전송 보장 - 앱 무결성 보장
앱이 변조되거나 재서명되지 않았는지 확인 - 실행 환경 보안
루팅, 탈옥 상태 탐지, 비정상 환경에서 앱 실행 제한 - 입력값 보호
가상 키패드와 암호화를 통한 안전한 데이터 입력 환경 제공 - 악성코드 탐지
모바일 백신을 통한 실시간 악성 앱 탐지 및 제거
2. 모바일 보안의 주요 위협
모바일 기기는 개인과 기업의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어 공격자에게 매력적인 표적이 된다.
대표적인 위협은 다음과 같다.
- 루팅/탈옥
운영체제 보안 장치를 해제해 관리자 권한을 획득, 다른 앱 데이터에 접근 가능 - 앱 위변조(리패키징)
정상 앱을 추출/변조 후 악성 앱으로 재배포, 금융사기/불법 결제 발생 - 디버깅/후킹(Hooking) 공격
앱 실행 중 함수 호출을 가로채 인증 우회나 데이터 탈취 시도 - 메모리 변조/원격제어
실행 중인 앱의 메모리 값 조작 또는 원격 미러링 앱을 통한 데이터 탈취 - 악성코드 감염
비공식 경로나 피싱 링크를 통해 설치된 트로이목마, 스파이앱 등이 개인정보를 유출 - 입력값 탈취
계좌번호/비밀번호가 키로깅, 메모리 덤프 등으로 유출
3. 모바일 보안 솔루션 예시
이러한 위협을 막기 위해 다양한 보안 솔루션이 활용된다.
각 솔루션은 보안 기능을 다층적으로 제공하며, 금융권/공공기관 등에서 표준처럼 요구된다.
- 앱 보호(App Protection)
- 앱 무결성 검증 - 실행 파일/프레임워크 변조 여부 확인
- 코드 난독화 - 문자열/제어 흐름을 난독화해 리버스 엔지니어링 방지
- 디버깅/후킹 차단 - 비정상 행위 탐지 및 앱 실행 제한
- ex) FxShield, LxShield
- 모바일 백신(Anti-Virus)
- 악성 앱 탐지 및 실시간 차단
- CDN 기반 최신 패턴 업데이트
- 루팅/탈옥 진단 포함
- ex) Droid-X, ORA-X
- 가상 보안 키패드(Keypad Protection)
- 입력값 암호화 및 랜덤 배열 적용
- 메모리 덤프 방지, Fake 키패드 제공
- 금융권/공공기관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 ex) nFilter, Open Web nFilter
- 암호 모듈(Crypto Module)
- 국정원 검증필 모듈(KCMVP)
- 경량 ECC 알고리즘 기반 암호화 지원
정리
모바일 보안은 앱 자체 보호 + 단말 환경 보안 + 사용자 입력값 보호를 아우르는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금융권과 공공기관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것도 이 다층적 구조 때문이다.
따라서 모바일 보안 솔루션은 단일 기술이 아니라, 여러 기능을 조합해 위협을 막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