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DN 이란?

  • SDN(Software Defined Network)이란 소프트웨어를 통해 네트워크 리소스를 가상화하고 추상화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 즉,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과 API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프로그래밍하고, 중앙에서 전체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기존 네트워크 가상화 방식 SDN
차이점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 내에서 다양한 가상 네트워크를 세분화하거나, 다양한 물리적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를 하나의 가상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기능을 구현 중앙 집중식 서버를 통해 데이터 패킷 라우팅을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을 실현

 

SDN 작동방식

  • SDN에서 가장 핵심은 네트워크 장비의 Control Plane(제어부)와 Data Plane(전송부)의 분리이다.
  • Control Plane은 네트워크 장비를 제어하는 뇌에 해당하고, Data Plane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 기존 라우터(Router)라는 네트워크 장비에는 제어부와 전송부가 같이 존재
  • 제어부에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고 전송부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네트워크 운영자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를 수동으로 관리해야 했으며, 전체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비싼 라우터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수밖에 없었다.
  • SDN을 적용하여 제어부를 별도의 컴퓨팅 서버로 분리하고, 네트워크 장비는 데이터 전송 기능만 담당하도록 하는 것

 

SDN 장점

1. 비용 절감

  • 제어부는 여러 네트워크 장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관소화 되고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각 장비의 사양을 각각의 기능에 최적화시킬 수 있으므로 더 이상 리소스의 낭비를 보고 있을 필요가 없다.

2. 확장성 및 유연성

  •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로 전환하며, 더 이상 물리적인 리소스의 한계에 구애받지 않아도 된다.
  • 원하는 시기에 필요한 만큼 네트워크 리소스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 벤더 별로 각 장치를 프로그래밍하고 그 한계에 타협하는 상황에서 벗어나, 네트워크 장비를 선택할 때 더 높은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3. 강력한 보안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는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가시성을 통해 보안 위협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보기 제공
  •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SDN은 기존 네트워킹에 비해 더욱 명확한 이점 제시
  • 서로 다른 보안 수준이 필요한 기기에 대해 별도의 영역을 생성하거나 손상된 기기를 즉시 차단하여 나머지 네트워크가 감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참고*

https://bumday.tistory.com/116

https://suyeon96.tistory.com/48

 

728x90
728x90

bps(bit per second)

초당 전송되는 bit의 수

 

BPS(Byte per second)

초당 전송되는 byte의 수. 1byte = 8bit

 

cps(character per second)

초당 전송되는 문자의 수. 문자 = 8bit

 

pps(packet per second)

초당 전송되는 패킷의 수

 

CPS(Connection Per Second)

초당 TCP Connection을 생성할 수 있는 최대 개수. L4

 

CC(Concurrent Connection, 동시 연결 수)

로드 밸런싱을 기준으로 클러이언트/세션 수
CPS가 초당 측정치라고 한다면, CC는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최대 개수

 

TPS(Transaction Per Second)

초당 최대 처리 건수, 초당 교환되는 데이터의 수치. L7

 

728x90
728x90

GBIC(Gigabit Interface Converter)

  • 광신호(Optical Signal)를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로 혹은 그 반대로도 변환해주는 컨버터
  • 광통신 장비가 동작중인 상태에서도 교체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Hot-Swappable)

GBIC

GBIC의 종류

종류 용도 전송거리 파장
1000Base-T UTP-Cable 100m 이하  
1000Base-SX 근거리 약 2~300m 850nm
1000Base-LX 중거리 MM-500m, SM-10km 1300nm
1000Base-ZX 장거리 수십km 이상 1550nm

 

SFP(Small Form-factor Puggable)

  • SFP는 mini-GBIC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GBIC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기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일반적으로 SFP는 LC타입 커넥터를 사용

SFP

 

SFP의 종류

종류 모드 최대 지원 전송 속도 전송거리 파장
SX Multi Mode 1.25Gbos 550m 850nm
LX Single Mode 2.5Gbps 10km 1310nm
EX Single Mode 40km 1310nm
ZX Single Mode 80km 1550nm
EZX(Enhanced ZX) Single Mode 120km 1550nm

 

향상된 SFP

Transceiver 종류 최대 전송 속도
SFP 2.5Gbps
SFP+ 10Gbps
XFP 10Gbps
QSFP+ 40Gbps
CFP 100Gbps

 

728x90
728x90

정보보안의 3요소

기밀성(Confidentiality)

인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정보의 내용응ㄹ 알 수 없도록 하는 것

 

무결성(Integrity)

정보가 인가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변경 가능한 것

 

가용성(Availability)

정보에 대한 사용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것

 

728x90
728x90

L1 HUB

  • L1 허브는 모든 랜선이 꽂힌 포트에 동일한 정보를 보내는 장비
  • 더미 허브

 

L2 Switch

  •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자 스위치의 정의에 부합하는 스위치
  • 허브에서 한단계 진화한 장치
  • OSI 7 Layer 데이터링크(2)계층의 MAC 주소를 이용한 스위칭
  • 패킷이 왔을때 목적지가 어디인가를 보고 그 목적지로 보내주는 역할만 수행
  • 데이터링크(2)계층에서 동작하므로 목적지를 이더넷 주소로 이해한다.
  • 라우팅이 불가능하다.

 

L3 Switch

  • L2 스위치의 한계로 인해 등장
  • L3에서는 네트워크(3)계층의 프로토콜인 IP등에서 스위칭을 수행
  • L2 스위치에 라우팅 기능 추가. 즉 MAC 주소 뿐만 아니라 IP주소까지 알고있다.
  • 가정용 공유기 역시 L3 기능이 있다.

 

L4 Switch

  • L3 스위치까지 로드밸런싱이 불가하다는 한계를 가짐 
  • 서버나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로드밸런싱 해줄 수 있는 스위치
  • TCP/UDP 등의 헤더를 보고 FTP, HTTP, SMTP등 어떤 프로토콜인지 판별하고 우선순위를 정해 스위칭
  • IP, PORT를 보고 스위칭

 

L7 Switch

  • L7은 응용(7)계층에서 동작한다.
  • L7은 TCP/IP와 URL을 포함하고 전계층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스위치이다.
  • L7은 불필요한 트래픽 차단, 네트워크 침입에 대한 부분에 한하여 설정 가능
  • L7은 보안스위치라고도 불린다. UTM장비의 역할도 부가적으로 가능하다.
  • 데이터 분석을 통해 DDoS 공격 방어 ,감염 패킷 필터링 등의 기능을 제공
728x90
728x90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하드웨어에 할당된 주소
  • 모든 장비가 가지는 고유한 물리주소
  • 하드웨어주소(Hardware Address), 물리적주소(Physical Address), 이더넷주소(Ethernet Address)로 불린다
  • MAC 주소는 48비트 길이의 16진수 값으로 표현한다.

 

DNS(Domain Name System)

  • DNS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IP)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해주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연결되어 있는 IP주소와 도메인이 저장된 곳이 DNS
  • 각 도메인들 마다 DNS와 연결해주는 서버역할을 하는 DNS 서버, 다른말로 네임서버가 있다.

Domain

원래 지정된 인터넷 접속 주소를 다른 이름으로 바꿔준 주소
ex) 192.168.1.1 > www.이름.com

 

728x90
728x90

WAF(Web Application Firewall : 웹 방화벽)

  • 웹 서비스를 하는 모든 웹서버에 대한 침해사고를 대응할 수 있다.
  • OSI 7 Layer에서 HTTP(80) Protocol을 Base로 하는 취약점 공격만 탐지 및 차단
  • HTTP(80)으로 시도되는 DoS, DDoS 공격을 차단
  • 보호대상 : 웹서비스를 하는 모든 웹서버

 

NAC(Network Access Control : 네트워크 접근 제어)

  • 엔드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전 보안정책 준수여부를 검사하여 네트워크 사용을 제한하는 것
  • 내부 사용자에대한 접근제어 시스템으로 적합하다.(내부망)
  • NAC의 접근제어 및 인증 기능은 일반적으로 MAC주소를 기반으로 수행한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네트워크 주소 변환)

  •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개의 사설 IP로 변환한다.
  • NAT를 사용하여 IP주스의 부족을 해결 할 수 있다.
  • 집에서 사용하는 공유기도 NAT의 기능을 한다.
728x90
728x90

APT(Advance Persistent Threat : 지능형 지속 위협 공격)

  • APT는 특정한 목표를 겨냥해서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한 다음 장기적으로 집중적이고 은밀하게 공격하는 수법
  • 지능형 타깃 공격이라고도 한다
  • APT공격은 정부, 금융회사 등 기밀획득 목적으로 목표달성 때 까지 지속해킹 공격을 시도한다.
  • 이메일이나 메신저를 통해 악성코드를 전송하며, 공격대상이 명확하며, 장기간에 걸처 지속적인 공격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
  • 공격 감지율이 매우 낮고 피해규모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APT 공격과 목적

공격

정부 또는 금전 및 특정회사의 중요 정보의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범죄 그룹에 의해서 특정 사이트 및 기업을 상대로 지속적으로 취약점과 목적을 가지고 공격하는 해킹 공격

목적

경제적, 정치적, 전략적 이득을 위한 정보를 가져오는 것
특수 목적을 가진 조직이 하나의 표적에 대해 다양한 IT기술을 이용해서 지속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취약점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피해를 끼치는 것

 

APT 공격 프로세스

  • 사전 조사 및 사회 공학적 방법으로 공격시도 
  • 내부침입 성공
  • 악성코드 전파 확산
  • 중요정보 유출
  • 흔적삭제

 

APT 공격 특징

  • 침입 후 즉시 정보를 빼가지 않고, 때를 기다리면서 관련된 모든 정보를 천천히 살펴보며 은밀히 활동하고, 정보를 유출하거나 보안서비스를 무력화 시킨다.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지 ㅇ낳고, 특정 대상을 지정해 공격한다.
  • 보안관리가 소홀한 외부용역등을 공격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