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alert()

alert()은 사용자에게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알림창을 띄운다.

alert("메세지");

 

confirm()

confirm()은 메세지를 표시해 사용자에게 의사를 물어보며, 선택에 대한 결과로 "예", "아니오"를 가진다.

기본값은 아니오(false). confirm() 창을 무시하면 아니오(false)를 반환.

confirm("메세지");

 

prompt()

prompt()은 사용자에게 입력값을 전달받을 수 있는 메세지를 가지고 있는 대화창을 띄웁니다.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반환. 입력된 값이 없다면 "null" 반환.

prompt("메세지","입력 받을 부분의 default 메세지");

 

728x90
728x90

1. <head></head> 사이에 script 코드를 삽입.

<script type="text/javascript">
	document.oncontextmenu = function(){return false;}
</script>

 

2. <body> 아래에 html 코드를 삽입.

<body oncontextmenu="return false" onselectstart="return false" ondragstart="return false" onkeydown="return false">

 

3. 명칭

oncontextmenu = "return false" : 우클릭 방지
onseletstart = "return false" : 마우스 드래그 방지


ondragstart =  "return false" : 이미지 복사 드래그 방지


onkeydown = "return false" : 키보드 단축키 복사 방지

 

728x90
728x90

var

이전 자바스크립트의 변수 선언이 var로만 가능했었다.

var 변수 선언을 했을 경우 가장 큰 특징은 중복 선언이 가능하다.

var a =10;
console.log(a) // 결과값 10

var a = 20;
console.log(a) // 결과값 20

var a = 30;
console.log(a) // 결과값 30

중복 선언의 위험성 때문에 큰 단점으로 여겨진다.

이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let과 const가 추가되었다.

 

let

변수명을 중복으로 선언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허나 값을 재할당 하는 것은 가능하다.

let a = 10;
console.log(a) // 결과값 10

let a = 20;
console.log(a) // 에러발생
// SyntaxError: Identifier 'a' has already been declared
// 중복 선언 불가 

a = 30;
consolel.log(a) // 결과값 30
// 값을 재할당 하는 것은 가능

 

const

변수명을 중복으로 선언하면 let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const는 값을 재할당 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처음 선언하면 다른 값을 넣을 수 없기에 보통 const는 상수를 선언하는 키워드로 사용한다.

const a = 10;
consolel.log(a) // 결과값 10

const a = 20;
console.log(a) // 에러 발생
// SyntaxError: Identifier 'a' has already been declared
// 중복 선언 불가

a = 30; // 에러 발생
//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 값을 재할당 하는 것도 불가

 

값을 재할당 할 필요가 있을 경우 - let

값을 재할당 할 필요가 없을 경우 - const

728x90
728x90

ifconfig 명령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확인한다.

 

사용법

ifconfig

ifconfig -a => 비활성화 장치 포함 모두 보기

728x90
728x90

소유권 확인

소유권 확인을 위해 아래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다.

ls -al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물이 나온다.

drwxr-xr-x  4 agos  agosgroup       4096 Mar 20  2020 agos

소유권자가 agos, 그룹 식별자가 agosgroup이다.

 

파일 소유권 변경

root 권한으로 명령어를 실행한다.

chown {소유권자}:{그룹식별자} {소유권을 변경하고 싶은 파일명}

 

하위 디렉토리까지 소유권 변경

root 권한으로 명령어 실행

chown -R {소유권자}:{그룹식별자} {소유권을 변경하고 싶은 파일명}

 

728x90
728x90

CP 명령어

파일/디렉토리를 복사한다.

 

사용법

cp (옵션) [대상 파일의 위치] [복사하고 싶은 위치/이름]

 

예제

test/temp 파일을 /backup 디렉토리에 복사.

cp /test/temp /backup

 

test/test 폴더(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 전체)를 /backup 디렉토리에 복사

cp -r /test/test /backup

 

옵션

-r :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 전체를 복사

-p : 소유주, 그룹, 권한, 시간 정보를 보존

-i : 대상 파일이 있으면 덮어쓰기

-v : 수행중인 작업을 인쇄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