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6098 : [기초-리스트] 성실한 개미(py)

문제 설명

영일이는 생명과학에 관심이 생겨 왕개미를 연구하고 있었다.

왕개미를 유심히 살펴보던 중 특별히 성실해 보이는 개미가 있었는데,
그 개미는 개미굴에서 나와 먹이까지 가장 빠른 길로 이동하는 것이었다.

개미는 오른쪽으로 움직이다가 벽을 만나면 아래쪽으로 움직여 가장 빠른 길로 움직였다.
(오른쪽에 길이 나타나면 다시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이에 호기심이 생긴 영일이는 그 개미를 미로 상자에 넣고 살펴보기 시작하였다.

미로 상자에 넣은 개미는 먹이를 찾았거나, 더 이상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오른쪽 또는 아래쪽으로만 움직였다.

미로 상자의 구조가 0(갈 수 있는 곳), 1(벽 또는 장애물)로 주어지고,
먹이가 2로 주어질 때, 성실한 개미의 이동 경로를 예상해보자.

단, 맨 아래의 가장 오른쪽에 도착한 경우,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경우, 먹이를 찾은 경우에는
더이상 이동하지 않고 그 곳에 머무른다고 가정한다.

미로 상자의 테두리는 모두 벽으로 되어 있으며,
개미집은 반드시 (2, 2)에 존재하기 때문에 개미는 (2, 2)에서 출발한다.

시간 제한 : 1 Sec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10*10 크기의 미로 상자의 구조와 먹이의 위치가 입력된다.

출력

성실한 개미가 이동한 경로를 9로 표시해 출력한다.

입력 예시

1 1 1 1 1 1 1 1 1 1
1 0 0 1 0 0 0 0 0 1
1 0 0 1 1 1 0 0 0 1
1 0 0 0 0 0 0 1 0 1
1 0 0 0 0 0 0 1 0 1
1 0 0 0 0 1 0 1 0 1
1 0 0 0 0 1 2 1 0 1
1 0 0 0 0 1 0 0 0 1
1 0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출력 예시

1 1 1 1 1 1 1 1 1 1
1 9 9 1 0 0 0 0 0 1
1 0 9 1 1 1 0 0 0 1
1 0 9 9 9 9 9 1 0 1
1 0 0 0 0 0 9 1 0 1
1 0 0 0 0 1 9 1 0 1
1 0 0 0 0 1 9 1 0 1
1 0 0 0 0 1 0 0 0 1
1 0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풀이

# 판 생성
board=[[0]*10 for _ in range(10)]

# 입력 값을 판에 적용
for i in range(10):  
    board[i] = list(map(int, input().split()))

x = 1
y = 1

while True:
    if board[x][y] == 2:
        board[x][y] = 9
        break
    
    if board[x][y+1] != 1:
        board[x][y] = 9
        y += 1
    elif board[x+1][y] != 1:
        board[x][y] = 9
        x += 1
    else:
        board[x][y]=9
        break
    

# 출력
for i in range(10):
    for j in range(10):
        print(board[i][j], end=' ')
    print()
728x90
728x90

6097 : [기초-리스트] 설탕과자 뽑기(py)

문제 설명

부모님과 함께 놀러간 영일이는
설탕과자(설탕을 녹여 물고기 등의 모양을 만든 것) 뽑기를 보게 되었다.

길이가 다른 몇 개의 막대를 바둑판과 같은 격자판에 놓는데,

막대에 있는 설탕과자 이름 아래에 있는 번호를 뽑으면 설탕과자를 가져가는 게임이었다.
(잉어, 붕어, 용 등 여러 가지가 적혀있다.)

격자판의 세로(h), 가로(w), 막대의 개수(n), 각 막대의 길이(l),
막대를 놓는 방향(d:가로는 0, 세로는 1)과
막대를 놓는 막대의 가장 왼쪽 또는 위쪽의 위치(x, y)가 주어질 때,

격자판을 채운 막대의 모양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시간 제한 : 1 Sec
메모리 제한 : 128 MB

출처 codeUp

입력

첫 줄에 격자판의 세로(h), 가로(w) 가 공백을 두고 입력되고,
두 번째 줄에 놓을 수 있는 막대의 개수(n)
세 번째 줄부터 각 막대의 길이(l), 방향(d), 좌표(x, y)가 입력된다.
1 <= w, h <= 100
1 <= n <= 10
d = 0 or 1
1 <= x <= 100-h
1 <= y <= 100-w

출력

모든 막대를 놓은 격자판의 상태를 출력한다.
막대에 의해 가려진 경우 1, 아닌 경우 0으로 출력한다.
단, 각 숫자는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입력 예시

5 5
3
2 0 1 1
3 1 2 3
4 1 2 5

출력 예시

1 1 0 0 0
0 0 1 0 1
0 0 1 0 1
0 0 1 0 1
0 0 0 0 1

풀이

h, w = map(int, input().split())
n = int(input())

# 판 생성
board=[[0]*w for _ in range(h)]

# 입력 조건대로 판에 표시
for i in range(n):
    l, d, x, y = map(int, input().split())
    for j in range(l):
        if d == 0 :
            board[x-1][y-1+j] = 1
        else:
            board[x-1+j][y-1] = 1

# 출력
for i in range(h):
    for j in range(w):
        print(board[i][j], end=' ')
    print()

 

728x90
728x90

6096 : [기초-리스트] 바둑알 십자 뒤집기(py)

문제 설명

부모님을 기다리던 영일이는 검정/흰 색 바둑알을 바둑판에 꽉 채워 깔아 놓고 놀다가...

"십(+)자 뒤집기를 해볼까?"하고 생각했다.

십자 뒤집기는
그 위치에 있는 모든 가로줄 돌의 색을 반대(1->0, 0->1)로 바꾼 후, 
다시 그 위치에 있는 모든 세로줄 돌의 색을 반대로 바꾸는 것이다.
어떤 위치를 골라 집자 뒤집기를 하면, 그 위치를 제외한 가로줄과 세로줄의 색이 모두 반대로 바뀐다.

바둑판(19 * 19)에 흰 돌(1) 또는 검정 돌(0)이 모두 꽉 채워져 놓여있을 때,
n개의 좌표를 입력받아 십(+)자 뒤집기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시
...
for i in range(n) :
  x,y=input().split()
  for j in range(1, 20) :
    if d[j][int(y)]==0 :
      d[j][int(y)]=1
    else :
      d[j][int(y)]=0

    if d[int(x)][j]==0 :
      d[int(x)][j]=1
    else :
      d[int(x)][j]=0
...

참고
리스트가 들어있는 리스트를 만들면?
가로번호, 세로번호를 사용해 2차원 형태의 데이터처럼 쉽게 기록하고 사용할 수 있다.
리스트이름[번호][번호] 형식으로 저장되어있는 값을 읽고 쓸 수 있다.

시간 제한 : 1 Sec
메모리 제한 : 128 MB

출처 codeUp

입력

바둑알이 깔려 있는 상황이 19 * 19 크기의 정수값으로 입력된다.
십자 뒤집기 횟수(n)가 입력된다.
십자 뒤집기 좌표가 횟수(n) 만큼 입력된다. 단, n은 10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십자 뒤집기 결과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2
10 10
12 12

출력 예시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풀이

d=[] 
# 바둑판 생성
for i in range(20) : 
    d.append([]) 
    for j in range(20) : 
        d[i].append(0)


# 입력 예시 받기
for i in range(19):
    a = input().split()
    for j in range(19):
        d[i+1][j+1] = int(a[j])
        
n = int(input())
for i in range(n):
    x,y=map(int, input().split())
    for j in range(1,20):
        if d[j][y]==0:
            d[j][y]=1
        else :
            d[j][y]=0
        
        if d[x][j]==0:
            d[x][j]=1
        else :
            d[x][j]=0

for i in range(1,20):
    for j in range(1,20):
        print(d[i][j],end=' ')
    print()
728x90
728x90

6095 : [기초-리스트] 바둑판에 흰 돌 놓기(설명)(py)

문제 설명

기숙사 생활을 하는 학교에서 어떤 금요일(전원 귀가일)에는 모두 집으로 귀가를 한다.

오랜만에 집에 간 영일이는 아버지와 함께 두던 매우 큰 오목에 대해서 생각해 보다가
"바둑판에 돌을 올린 것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을까?"하고 생각하였다.

바둑판(19 * 19)에 n개의 흰 돌을 놓는다고 할 때,
n개의 흰 돌이 놓인 위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시
d=[]                        #대괄호 [ ] 를 이용해 아무것도 없는 빈 리스트 만들기
for i in range(20) :
  d.append([])         #리스트 안에 다른 리스트 추가해 넣기
  for j in range(20) : 
    d[i].append(0)    #리스트 안에 들어있는 리스트 안에 0 추가해 넣기

n = int(input())
for i in range(n) :
  x, y = input().split()
  d[int(x)][int(y)] = 1

for i in range(1, 20) :
  for j in range(1, 20) : 
    print(d[i][j], end=' ')    #공백을 두고 한 줄로 출력
  print()                          #줄 바꿈

참고
리스트가 들어있는 리스트를 만들면?
가로번호, 세로번호를 사용해 2차원 형태의 데이터처럼 쉽게 기록하고 사용할 수 있다.
리스트이름[번호][번호] 형식으로 저장되어있는 값을 읽고 쓸 수 있고, 더 확장한 n차원의 리스트도 만들 수 있다.

...
d=[]
for i in range(20) : 
  d.append([])
  for j in range(20) :  
    d[i].append(0)
... 

위와 같이, 모두 0이 채워진 2차원 리스트를 만드는 코드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짧게 만들 수도 있다.
... [0 for j in range(20)]  #20개의 0이 들어간 [0, 0, 0, ... , 0, 0, 0] 리스트 
아래처럼 작성하면 위와 같은 리스트가 20개가 들어간 리스트를 한 번에 만들어 준다.

d = [[0 for j in range(20)] for i in range(20)]

이러한 리스트 생성 방식을 List Comprehensions 라고 한다.

시간 제한 : 1 Sec
메모리 제한 : 128 MB

출처 codeUp

입력

바둑판에 올려 놓을 흰 돌의 개수(n)가 첫 줄에 입력된다.
둘째 줄 부터 n+1 번째 줄까지 힌 돌을 놓을 좌표(x, y)가 n줄 입력된다.
n은 10이하의 자연수이고 x, y 좌표는 1 ~ 19 까지이며, 똑같은 좌표는 입력되지 않는다.

출력

흰 돌이 올려진 바둑판의 상황을 출력한다.
흰 돌이 있는 위치는 1, 없는 곳은 0으로 출력한다.

입력 예시

5
1 1
2 2
3 3
4 4
5 5

출력 예시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풀이

d=[] 
# 바둑판 생성
for i in range(20) : 
    d.append([]) 
    for j in range(20) : 
        d[i].append(0)
# 입력 예시 받기
n = int(input())
for i in range(n):
    x, y = input().split()
    d[int(x)][int(y)] = 1
# 출력
for i in range(1,20):
    for j in range(1,20):
        print(d[i][j], end=' ')
    print()
728x90
728x90

6094 : [기초-리스트] 이상한 출석 번호 부르기3(py)

문제 설명

정보 선생님은 오늘도 이상한 출석을 부른다.

영일이는 오늘도 다른 생각을 해보았다.
출석 번호를 다 부르지는 않은 것 같은데... 가장 빠른 번호가 뭐였지?

출석 번호를 n번 무작위로 불렀을 때, 가장 빠른 번호를 출력해 보자.

단, 
첫 번째 번호와 마지막 번호가 몇 번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음수(-) 번호, 0번 번호도 있을 수 있다.

참고
리스트에 출석 번호를 기록해 두었다가, 그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찾아내면 된다.
그런데, 가장 작은 값은 어떻게 어떤 것과 비교하고, 어떻게 찾아야 할까?

시간 제한 : 1 Sec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번호를 부른 횟수(n, 1 ~ 10000)가 첫 줄에 입력된다.
n개의 랜덤 번호(k)가 두 번째 줄에 공백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입력된다.

출력

출석을 부른 번호 중에 가장 빠른 번호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10
10 4 2 3 6 6 7 9 8 5

출력 예시

2

풀이

n = int(input())
a = input().split()
for i in range(n):
    a[i] = int(a[i])
a.sort()
print(a[0])
728x90
728x90

6093 : [기초-리스트] 이상한 출석 번호 부르기2(py)

문제 설명

정보 선생님은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이상한 출석을 부른다.

학생들의 얼굴과 이름을 빨리 익히기 위해 번호를 무작위(랜덤)으로 부르는데,
영일이는 선생님이 부른 번호들을 기억하고 있다가 거꾸로 불러보는 것을 해보고 싶어졌다.

출석 번호를 n번 무작위로 불렀을 때, 부른 번호를 거꾸로 출력해 보자.

예시
...
for i in range(n-1, -1, -1) :
  print(a[i], end=' ')
...

참고
번호를 부른 순서를 리스트에 순서대로 기록해 두었다가, 기록한 값들을 거꾸로 출력하면 된다.
range(시작, 끝, 증감) #시작 수는 포함, 끝 수는 포함하지 않음. [시작, 끝)
range(n-1, -1, -1) #n-1, n-2, ..., 3, 2, 1, 0

시간 제한 : 1 Sec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번호를 부른 횟수(n, 1 ~ 10000)가 첫 줄에 입력된다.
n개의 랜덤 번호(k, 1 ~ 23)가 두 번째 줄에 공백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입력된다.

출력

출석을 부른 번호 순서를 바꾸어 공백을 두고 출력한다.

입력 예시

10
10 4 2 3 6 6 7 9 8 5

출력 예시

5 8 9 7 6 6 3 2 4 10
n = int(input())
a = input().split()
a.reverse()
for i in range(0,n):
    print(a[i],end= ' ')
728x90
728x90

6092 : [기초-리스트] 이상한 출석 번호 부르기1(설명)(py)

문제 설명

정보 선생님은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이상한 출석을 부른다.

선생님은 출석부를 보고 번호를 부르는데,
학생들의 얼굴과 이름을 빨리 익히기 위해 번호를 무작위(랜덤)으로 부른다.

그리고 얼굴과 이름이 잘 기억되지 않는 학생들은 번호를 여러 번 불러
이름과 얼굴을 빨리 익히려고 하는 것이다.

출석 번호를 n번 무작위로 불렀을 때, 각 번호(1 ~ 23)가 불린 횟수를 각각 출력해보자.

예시
n = int(input())      #개수를 입력받아 n에 정수로 저장
a = input().split()  #공백을 기준으로 잘라 a에 순서대로 저장

for i in range(n) :  #0부터 n-1까지...
  a[i] = int(a[i])       #a에 순서대로 저장되어있는 각 값을 정수로 변환해 다시 저장

d = []                     #d라는 이름의 빈 리스트 [ ] 변수를 만듦. 대괄호 기호 [  ] 를 사용한다.
for i in range(24) :  #[0, 0, 0, ... , 0, 0, 0] 과 같이 24개의 정수 값 0을 추가해 넣음
  d.append(0)        #각 값은 d[0], d[1], d[2], ... , d[22], d[23] 으로 값을 읽고 저장할 수 있음.

for i in range(n) :    #번호를 부를 때마다, 그 번호에 대한 카운트 1씩 증가
  d[a[i]] += 1

for i in range(1, 24) :  #카운트한 값을 공백을 두고 출력
  print(d[i], end=' ')

참고
- d = []              #어떤 데이터 목록(list) 을 순서대로 저장하기 위해 아무것도 없는 리스트 변수 만들기
- d.append(값)  #d 리스트의 마지막에 원하는 값을 추가(append)해 넣음 
- d[a[i]] += 1     #2중 리스트 참조 : 만약 a[i]의 값이 1이었다면? d[1] += 1 이 실행되는 것이다. 1번 카운트 1개 증가..

어떤 값을 기록했다가 다시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필요한 변수(variable)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처럼,
여러 개의 값을 하나로 묶어 목록으로 기록했다가 다시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리스트(list)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리스트는 변수들을 모아 놓은 변수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참조번호를 이용해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시간 제한 : 1 Sec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 번째 줄에 출석 번호를 부른 횟수인 정수 n이 입력된다. (1 ~ 10000)
두 번째 줄에는 무작위로 부른 n개의 번호(1 ~ 23)가 공백을 두고 순서대로 입력된다.

출력

1번부터 번호가 불린 횟수를 순서대로 공백으로 구분하여 한 줄로 출력한다.

입력 예시

10
1 3 2 2 5 6 7 4 5 9

출력 예시

1 2 1 1 2 1 1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풀이

n = int(input())
a = input().split()
d = []
for i in range(n):
    a[i] = int(a[i])

for i in range(24):
    d.append(0)

for i in range(n):
    d[a[i]] += 1

for i in range(1,24):
    print(d[i],end=' ')
728x90
728x90

문제 설명

온라인 채점시스템에는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대학원생,
일반인, 군인, 프로그래머, 탑코더 등 아주 많은 사람들이 들어와 문제를 풀고 있는데,

실시간 채점 정보는 메뉴의 채점기록(Judge Status)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자! 여기서...잠깐..
같은 날 동시에 가입한 3명의 사람들이 온라인 채점시스템에 들어와 문제를 푸는 날짜가
매우 규칙적이라고 할 때, 다시 모두 함께 문제를 풀게 되는 그날은 언제일까?

예를 들어 3명이 같은 날 가입/등업하고, 각각 3일마다, 7일마다, 9일마다
한 번씩 들어온다면, 처음 가입하고 63일 만에 다시 3명이 함께 문제를 풀게 된다.

갑자기 힌트?
왠지 어려워 보이지 않는가?
수학에서 배운 최소공배수를 생각한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보에서 배우고 경험하는
정보과학의 세상은 때때로 컴퓨터의 힘을 빌려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아래의 코드를 읽고 이해한 후 도전해 보자.
day는 날 수, a/b/c는 방문 주기이다.
...
d = 1
while d%a!=0 or d%b!=0 or d%c!=0 :
  d += 1
print(d)
...

물론, 아주 많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정보과학의 문제해결에 있어서 정답은?
하나가 아니라 주어진 시간/기억공간으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모든 방법이다.

따라서, 모든 문제들에는 정답이 하나뿐만이 아니다.
새로운, 더 빠른, 더 간단한 방법을 다양하게 생각해보고 여러가지 방법으로 도전해 볼 수 있다.

시간 제한 : 1 Sec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같은 날 동시에 가입한 인원 3명이 규칙적으로 방문하는,
방문 주기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단, 입력값은 100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3명이 다시 모두 함께 방문해 문제를 풀어보는 날(동시 가입/등업 후 며칠 후?)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3 7 9

출력 예시

63

풀이

a, b, c = map(int, input().split())
day = 1
while day%a!=0 or day%b!=0 or day%c!=0:
    day += 1
    if day%a==0 and day%b==0 and day%c==0:
        print(day)
        break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