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AC란 무엇인가(내부 사용자 통제 장비의 개념과 도입 이유)
NAC(Network Access Control)는 말 그대로 네트워크 접근 제어 장비다.
즉, 누가 어떤 단말로 어느 시점에 네트워크에 접속하려고 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NAC는 사내망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통제에 초점을 둔 보안 장비다.
방화벽이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통제한다면,
NAC는 내부로 이미 들어온 사용자와 단말의 인증과 상태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접근을 관리한다.
왜 NAC가 필요한가
기업에서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사내망에 접속한다.
사내 직원 외에도 협력업체, 외부 강사, 방문자 등이 임시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인증 없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악성코드 감염이나 내부 정보 유출과 같은 보안 위협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NAC의 필요성이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 사내망에 등록되지 않은 개인 장비가 접속하는 환경 (BYOD)
- 백신, 보안 패치 등 보안 상태가 불완전한 PC가 존재하는 경우
- 내부 사용자 접속 이력을 기록해야 하는 보안 인증 요건이 있는 경우
이처럼 NAC은 네트워크 접속 시 인증 절차를 먼저 수행하고, 보안 상태 기준에 따라 접속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장치다.
NAC이 수행하는 기능
- 사용자 인증
사용자의 계정 또는 단말 정보를 기준으로 접속을 제어한다.
예: MAC 주소, ID, 패스워드, 인증서 등 - 단말 상태 점검
백신 설치 여부, 운영체제 버전, 보안 설정 여부 등을 확인한다.
(Agent 방식 사용 시) - 네트워크 접근 제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단말은 격리하거나
제한된 VLAN으로만 연결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 접속 이력 기록
누가, 언제, 어떤 단말로, 어느 구간에 접속했는지를 로그로 남긴다.
NAC의 구성 요소
- 인증 서버 (RADIUS, AD 등): 사용자 인증 정보 확인
- 정책 서버 (NAC 장비 자체): 접속 조건에 따른 제어 정책 적용
-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 무선 AP 등): 실제 연결 제어 수행
NAC과 방화벽의 차이
방화벽은 외부와 내부 간의 트래픽 흐름을 제어한다.
NAC은 내부망에 이미 연결된 사용자와 단말을 기준으로 접근을 제어한다.
정리하면, 방화벽은 “밖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을 다루고, NAC은 “안에서 들어와 있는 사람과 장비”를 다룬다고 이해하면 된다.
정리
NAC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려는 사용자와 단말의 자격과 상태를 확인하고, 접속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내부망 통제 장비다.
접속 전 인증, 보안 기준 점검, 로그 기록, VLAN 이동 등의 방식으로 사내 네트워크 보안을 한층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Network &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twork & Security] SSL VPN과 IPSec VPN의 차이점 (2) | 2025.08.01 |
|---|---|
| [Network&Security] SSL VPN 구조 및 동작 방식 (1) | 2025.07.29 |
| [Network & Security] IPSec VPN 구조 및 프로토콜 흐름 (1) | 2025.07.21 |
| [Network & Security] 보안장비 구성 흐름: L2 ~ L7 역할별 정리 (0) | 2025.07.08 |
| [Network & Security] 방화벽 Zone 구조와 정책 처리 원리 (0) | 2025.06.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