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화벽 Zone 구조와 정책 처리 원리
보안 장비에서 ‘Zone’이라는 개념은 트래픽을 구분하고 정책을 논리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핵심 단위다.
Zone 단위로 네트워크 영역을 분리함으로써 복잡한 환경에서도 일관성 있는 보안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Zone이란 무엇인가
Zone은 물리적 포트나 서브넷 단위의 구간을 논리적으로 하나의 보안 영역으로 분류한 것이다.
예를 들어, 내부망과 외부망을 구분할 때 ‘Inside Zone’, ‘Outside Zone’처럼 명칭을 붙이고,
각 Zone 간 트래픽에 대해 개별 정책을 적용한다.
장비에 따라 ‘Trust’, ‘Untrust’, ‘DMZ’처럼 기본 Zone을 제공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직접 ‘VPN Zone’, ‘Guest Zone’ 등 커스터마이징 할 수도 있다.
Zone 간 정책 처리 방식
방화벽은 ‘Zone-to-Zone’ 방식으로 정책을 처리한다.
즉, 같은 Zone 내에서는 보통 기본 허용되지만 Zone 간에는 명시적 정책이 없으면 트래픽이 차단된다.
예시 흐름:
- 사용자가 내부망(Inside Zone)에서 외부 인터넷(Outside Zone)으로 접속 시도
- 방화벽은 Source Zone: Inside, Destination Zone: Outside로 인식
- 이 Zone-to-Zone 흐름에 대한 정책이 있어야 통신 허용됨
- 정책이 없으면 Drop 처리됨
이 구조 덕분에 단순한 IP 기반 정책보다 더 구조적이고 일관된 보안 구성이 가능하다.
실제 구성 시 고려 사항
- Zone 정의는 서브넷, 인터페이스, 사용자 그룹 단위로 유연하게 구성 가능
- Zone-to-Zone 정책을 구성할 때는 Source/Destination IP뿐 아니라 Zone 이름 기반으로 접근 흐름을 판단해야 한다
- VPN, DMZ, Guest 등은 각각 별도의 Zone으로 구분하여 과도한 권한 부여를 막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리
- Zone은 네트워크를 보안 영역별로 나눈 논리적 단위
- 방화벽은 Zone 간 트래픽 흐름에 따라 정책을 적용
- Zone-to-Zone 정책 없으면 기본적으로 차단
- 명확한 Zone 분리는 보안성과 관리 효율성 모두에 중요
'Network &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 Security] VPN 인증 방식의 종류와 특징 (0) | 2025.06.10 |
---|---|
[Network & Security] VPN이란? 구조와 역할 정리 (0) | 2025.05.26 |
[Network & Security] Zone 기반 방화벽 정책 구성과 트래픽 흐름 (0) | 2025.05.19 |
[Network & Security] 패킷 필터링과 상태 기반 검사의 차이 (0) | 2025.05.13 |
[Network & Security] 방화벽 세션 테이블의 구조와 역할 (1)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