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

Stateful Inspection이란? – 상태 기반 방화벽의 동작 방식

방화벽은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트래픽을 검사합니다.
그 중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 Stateful Inspection(상태 기반 검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 Inspection의 원리를 간단히 정리해봅니다.


Stateless vs Stateful

먼저 Stateless Filtering과 비교해보면 이해가 쉬워집니다.

  • Stateless Filtering
    • IP, 포트, 프로토콜 등 패킷의 단편적인 정보만 보고 판단
    • 연결 상태는 고려하지 않음
    • 빠른 처리 가능하지만 정밀한 제어는 어려움
  • Stateful Inspection
    • 연결의 상태(세션)를 추적하며 전체 흐름을 기준으로 판단
    • TCP 핸드셰이크, 세션 유지/종료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관리
    • 정밀하고 안전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

Stateful Inspection의 동작 방식

  1. 초기 패킷 감지
    • 새로운 연결 요청이 들어오면, 세션 테이블에 해당 세션 정보를 등록
  2. 세션 추적
    • 이후 들어오는 패킷은 기존 세션과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처리
    • TCP 상태(3-way 핸드셰이크, 연결 유지, FIN 종료 등)를 추적
  3. 비정상 트래픽 판단
    • 세션 정보와 일치하지 않거나, 예상되지 않은 방향의 트래픽은 차단
  4. 세션 종료 처리
    • 연결 종료 시 세션 테이블에서 해당 항목 삭제

장점은 무엇일까

  • 단순 필터링보다 정확한 보안 제어 가능
  • 응답 트래픽만 허용하거나, 세션 없는 비정상 트래픽 차단 등 세부 정책 설정 가능
  • 대부분의 현대적인 방화벽(FortiGate, Palo Alto 등)에서 기본 적용되는 방식

요약

Stateful Inspection은 세션 상태를 추적해 트래픽을 판단하는 방화벽 기술입니다.
연결의 흐름 전체를 이해하므로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인 보안이 가능합니다.
현재 대부분의 보안 장비에 기본 적용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보안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