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netstat 명령어

포트와 네트워크 상태를 보여준다.

 

사용법

netstat [옵션] [| grep 포트번호 or 서비스 명]

 

옵션

-l (listen) : 연결 가능한 상태

-n (number port) : 포트 넘버

-t (tcp) : tcp

-u (udp) : udp

-p (program name/PID) : 프로그램 이름 / PID

-a (all) : 전부

 

ex) nestat -tpnl

728x90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usb 마운트 방법  (0) 2023.05.28
[Linux] -cd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  (0) 2023.05.27
[Linux] -mkdir 디렉토리 생성  (0) 2023.05.26
[Linux] -rmdir 디렉토리 삭제  (0) 2023.05.25
[Linux] -rm 파일/디렉토리 삭제  (0) 2023.05.24
728x90

마운트

1. USB 연결된 디바이스 경로 확인

sudo fdisk -l

2. USB 파일들을 임시로 출력해줄 디렉토리 생성

mkdir /mnt/usb

3. 생성한 디렉토리로 USB를 마운트한다.

- USB 타입이 NTFS인 경우
sudo mount -t ntfs /dev/sdb1 /mnt/usb

- USB 타입이 FAT32인 경우
sudo mount -t vfat /dev/sdb1 /mnt/usb

4.  마운트가 되었는지 확인

df -h

언마운트

sudo umount /mnt/usb

USB 제거 시 반드시 언마운트 후 제거해야 한다.

 

 

728x90
728x90

cd 명령어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

 

사용법

cd [이동할 디렉토리 이름]

 

예제

/home 디렉토리로 이동.

cd /home

 

현재 디렉토리로 이동.

cd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d ..



728x90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netstat 네트워크 상태 확인  (0) 2023.05.29
[Linux] usb 마운트 방법  (0) 2023.05.28
[Linux] -mkdir 디렉토리 생성  (0) 2023.05.26
[Linux] -rmdir 디렉토리 삭제  (0) 2023.05.25
[Linux] -rm 파일/디렉토리 삭제  (0) 2023.05.24
728x90

mkdir 명령어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root 권한이 있어야 한다.

 

사용법

mkdir (옵션) [생성할 디렉토리 이름]

 

예제

test 디렉토리를 생성.

mkdir /test

 

test 디렉토리 생성 후 그 안에 temp 디렉토리 생성

mkdir -p /test/temp

 

옵션

-p : 상위 디렉토리까지 생성

 



728x90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usb 마운트 방법  (0) 2023.05.28
[Linux] -cd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  (0) 2023.05.27
[Linux] -rmdir 디렉토리 삭제  (0) 2023.05.25
[Linux] -rm 파일/디렉토리 삭제  (0) 2023.05.24
[Linux] -mv 파일/디렉토리 이동  (0) 2023.05.23
728x90

rmdir 명령어

비어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사용법

rmdir (옵션) [삭제할 디렉토리 이름]

 

예제

빈 디렉토리 test 파일을 삭제.

rmdir test

 

옵션

-p : 상위 디렉토리도 삭제

 

728x90
728x90

rm 명령어

파일/디렉토리를 삭제한다.

 

사용법

rm (옵션) [삭제할 파일 위치/이름]

 

예제

test 파일을 삭제.

rm test

 

temp 디렉토리를 삭제.

mv -r temp

 

옵션

-r : 파일은 그냥 지우고 디렉토리면 디렉토리를 포함한 하위 경로와 파일 전부 삭제

-i : 삭제 할 것인지 확인을 한다

-f : 삭제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삭제

-rf : 삭제 여부를 묻지 않으며 하위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까지 삭제

728x90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mkdir 디렉토리 생성  (0) 2023.05.26
[Linux] -rmdir 디렉토리 삭제  (0) 2023.05.25
[Linux] -mv 파일/디렉토리 이동  (0) 2023.05.23
[Linux] Apache 시작/중지/재시작  (0) 2022.01.06
[Linux] tomcat 실행/종료/재시작  (0) 2022.01.05
728x90

mv 명령어

파일/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바꿔준다.

 

사용법

mv [대상 파일의 위치/이름] [이동하고 싶은 위치/이름]

 

예제

test/temp 파일을 /backup 으로 이동.

mv /test/temp /backup

 

temp 파일을 tmp로 이름 변경.

mv /backup/temp /backup/tmp

728x90
728x90

BOJ 17256 달달함이 넘쳐흘러

문제

냉장고에서 맛있게 숙성되고 있는 마카롱은 심심한 나머지 새로운 수 체계를 생각해냈다. 

마카롱은 이를 케이크 수라고 이름 붙이고,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케이크 수는 3개의 자연수 x, y, z로 이루어진 순서쌍이다. (자연수는 1 이상의 정수를 의미한다)
케이크 수 a는 (a.x, a.y, a.z)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마카롱은 케이크 수들을 비교하기 위해 등호 "="도 새로 정의했다.

케이크 수 a, b에 대하여, a = b라는 것은 다음과 같다.
a.x = b.x, a.y = b.y 그리고 a.z = b.z를 동시에 만족한다.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이 케이크 수는 기존의 수와 다르게 매우 특이한 연산을 적용할 수 있다. 

연산의 이름은 🍰이고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 🍰 b = (a.z + b.x, a.y × b.y, a.x + b.z)

SCCC의 회장 욱제는 케이크 수를 이용해 문제를 만들기로 했다.

마카롱과 욱제를 기쁘게 하기 위해서 문제를 풀어주자! 욱제가 만든 문제는 다음과 같다.

케이크 수 a, c 가 주어졌을 때, 다음을 만족하는 케이크 수 b를 계산하자.

a 🍰 b = c

a, c는 b가 항상 유일하게 존재하도록 주어진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256 MB

입력

첫째 줄에 케이크 수 a를 구성하는 자연수 a.x, a.y, a.z 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1 ≤ a.x, a.y, a.z ≤ 100)

둘째 줄에 케이크 수 c를 구성하는 자연수 c.x, c.y, c.z 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1 ≤ c.x, c.y, c.z ≤ 100)

출력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b.x, b.y, b.z를 하나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차례대로 출력한다.

b는 1 ≤ b.x, b.y, b.z ≤ 100 이고 반드시 유일하게 존재한다.

예제 입력 1

15 16 17
19 32 90

예제 출력 1

2 2 75

예제 입력 2

15 8 15
22 8 22

예제 출력 2

7 1 7

풀이

# boj 17256 달달함이 넘쳐흘러

a = list(map(int, input().split()))
c = list(map(int, input().split()))

print(c[0]-a[2], c[1]//a[1], c[2]-a[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