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BOJ 2588 곱셈

문제

(세 자리 수) × (세 자리 수)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출처 - 백준 온라인 저지

(1)과 (2)위치에 들어갈 세 자리 자연수가 주어질 때 (3), (4), (5), (6)위치에 들어갈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 (1)의 위치에 들어갈 세 자리 자연수가, 둘째 줄에 (2)의 위치에 들어갈 세자리 자연수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넷째 줄까지 차례대로 (3), (4), (5), (6)에 들어갈 값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472
385

예제 출력 1

2360
3776
1416
181720

풀이

a = int(input())
b = int(input())

print(a * (b % 10))
print(a * ((b % 100) // 10))
print(a * (b // 100))
print(a * b)
728x90
728x90

BOJ 10950 A+B - 3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256 MB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A+B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1 1
2 3
3 4
9 8
5 2

예제 출력 1

2
5
7
17
7

풀이

t = int(input())

for i in range(t):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728x90
728x90

BOJ 8393 합

문제

n이 주어졌을 때, 1부터 n까지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출력

1부터 n까지 합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예제 출력 1

6

풀이

n = int(input())
res = 0

for i in range(n+1):
    res += i
    
print(res)
728x90
728x90

BOJ 2753 윤년

문제

연도가 주어졌을 때, 윤년이면 1, 아니면 0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윤년은 연도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닐 때 또는 400의 배수일 때이다.

예를 들어, 2012년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니라서 윤년이다.

1900년은 100의 배수이고 400의 배수는 아니기 때문에 윤년이 아니다.

하지만, 2000년은 400의 배수이기 때문에 윤년이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 연도가 주어진다. 

연도는 1보다 크거나 같고, 4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윤년이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000

예제 출력 1

1

예제 입력 1

1999

예제 출력 1

0

풀이

# boj 2753 윤년

n = int(input())

if n%4==0 and (n%100!=0 or n%400==0):
    print(1)
else:
    print(0)
728x90
728x90

BOJ 10430 나머지

문제

(A+B)%C는 ((A%C) + (B%C))%C 와 같을까?

(A×B)%C는 ((A%C) × (B%C))%C 와 같을까?

세 수 A, B, C가 주어졌을 때, 위의 네 가지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256 MB

입력

첫째 줄에 A, B, C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2 ≤ A, B, C ≤ 10000)

출력

첫째 줄에 (A+B)%C, 둘째 줄에 ((A%C) + (B%C))%C, 셋째 줄에 (A×B)%C, 넷째 줄에 ((A%C) × (B%C))%C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8 4

예제 출력 1

1
1
0
0

풀이

# boj 10430 나머지

a, b, c = map(int, input().split())

print((a+b)%c)
print(((a%c)+(b%c))%c)
print((a*b)%c)
print(((a%c)*(b%c))%c)
728x90
728x90

BOJ 2739 구구단

문제

N을 입력받은 뒤, 구구단 N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출력 형식에 맞춰서 출력하면 된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출력형식과 같게 N*1부터 N*9까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

예제 출력 1

2 * 1 = 2
2 * 2 = 4
2 * 3 = 6
2 * 4 = 8
2 * 5 = 10
2 * 6 = 12
2 * 7 = 14
2 * 8 = 16
2 * 9 = 18

풀이

# boj 2739 구구단

n = int(input())

for i in range(1,10):
    print(n, "*", i, "=", n*i)
728x90
728x90

BOJ 1008 A/B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2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첫째 줄에 A/B를 출력한다. 

실제 정답과 출력값의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가 10-9 이하이면 정답이다.

예제 입력 1

1 3

예제 출력 1

0.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

10-9 이하의 오차를 허용한다는 말은 꼭 소수 9번째 자리까지만 출력하라는 뜻이 아니다.

예제 입력 2

4 5

예제 출력 2

0.8

풀이

# boj 1008 A/B

a, b = map(int, input().split())
res = a/b
print(res)
728x90
728x90

BOJ 10869 사칙연산

문제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 

이때, A+B, A-B, A*B, A/B(몫), A%B(나머지)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256 MB

입력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 (1 ≤ A, B ≤ 10,000)

출력

첫째 줄에 A+B, 둘째 줄에 A-B, 셋째 줄에 A*B, 넷째 줄에 A/B, 다섯째 줄에 A%B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7 3

예제 출력 1

10
4
21
2
1

풀이

# boj 10869 사칙연산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