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BOJ 10039 평균 점수

문제

상현이가 가르치는 아이폰 앱 개발 수업의 수강생은 원섭, 세희, 상근, 숭, 강수이다.

어제 이 수업의 기말고사가 있었고, 상현이는 지금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채점하고 있다. 

기말고사 점수가 40점 이상인 학생들은 그 점수 그대로 자신의 성적이 된다. 

하지만, 40점 미만인 학생들은 보충학습을 듣는 조건을 수락하면 40점을 받게 된다. 

보충학습은 거부할 수 없기 때문에, 40점 미만인 학생들은 항상 40점을 받게 된다.

학생 5명의 점수가 주어졌을 때, 평균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입력은 총 5줄로 이루어져 있고, 원섭이의 점수, 세희의 점수, 상근이의 점수, 숭이의 점수, 강수의 점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점수는 모두 0점 이상, 100점 이하인 5의 배수이다. 따라서, 평균 점수는 항상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학생 5명의 평균 점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0
65
100
30
95

예제 출력 1

68

힌트

숭과 원섭이는 40점 미만이고, 보충학습에 참여할 예정이기 때문에 40점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점수의 합은 340점이고, 평균은 68점이 된다.

풀이

# boj 10039 평균 점수

total = 0
for i in range(5):
    n = int(input())
    if n < 40:
        n = 40
    total += n
avg = total//5
print(avg)
728x90
728x90

BOJ 3003 킹,퀸,룩,비숍,나이트,폰

문제

동혁이는 오래된 창고를 뒤지다가 낡은 체스판과 피스를 발견했다.

체스판의 먼지를 털어내고 걸레로 닦으니 그럭저럭 쓸만한 체스판이 되었다.

하지만, 검정색 피스는 모두 있었으나, 흰색 피스는 개수가 올바르지 않았다.

체스는 총 16개의 피스를 사용하며, 킹 1개, 퀸 1개, 룩 2개, 비숍 2개, 나이트 2개, 폰 8개로 구성되어 있다.

동혁이가 발견한 흰색 피스의 개수가 주어졌을 때, 

몇 개를 더하거나 빼야 올바른 세트가 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 동혁이가 찾은 흰색 킹, 퀸, 룩, 비숍, 나이트, 폰의 개수가 주어진다. 

이 값은 0보다 크거나 같고 1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입력에서 주어진 순서대로 몇 개의 피스를 더하거나 빼야 되는지를 출력한다. 

만약 수가 양수라면 동혁이는 그 개수 만큼 피스를 더해야 하는 것이고, 음수라면 제거해야 하는 것이다.

예제 입력 1

0 1 2 2 2 7

예제 출력 1

1 0 0 0 0 1

예제 입력 2

2 1 2 1 2 1

예제 출력 2

-1 0 0 1 0 7

풀이

# boj 3003 킹, 퀸, 룩, 비숍, 나이트, 폰

chess = [1, 1, 2, 2, 2, 8]
a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len(chess)):
    print(chess[i] - a[i], end=' ')
728x90
728x90

BOJ 2581 소수

문제

자연수 M과 N이 주어질 때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골라 이들 소수의 합과 최솟값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M=60, N=100인 경우 60이상 100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는 61, 67, 71, 73, 79, 83, 89, 97 총 8개가 있으므로,

이들 소수의 합은 620이고, 최솟값은 61이 된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입력의 첫째 줄에 M이, 둘째 줄에 N이 주어진다.

M과 N은 10,000이하의 자연수이며, M은 N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찾아 첫째 줄에 그 합을, 둘째 줄에 그 중 최솟값을 출력한다. 

단,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가 없을 경우는 첫째 줄에 -1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60
100

예제 출력 1

620
61

예제 입력 2

64
65

예제 출력 2

-1

풀이

# boj 2581 소수

m = int(input())
n = int(input())
arr =[]

for i in range(m, n+1):
    if i == 1:
        continue
    for j in range(2, int(i**0.5)+1):
        if i % j == 0:
            break
    else:
        arr.append(i)
        
if len(arr) == 0: print(-1)
else:
    print(sum(arr))
    print(arr[0])
728x90
728x90

BOJ 2609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문제

두 개의 자연수를 입력받아 최대 공약수와 최소 공배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는 두 개의 자연수가 주어진다. 

이 둘은 10,000이하의 자연수이며 사이에 한 칸의 공백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둘째 줄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두 수의 최소 공배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4 18

예제 출력 1

6
72

풀이

# boj 2609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import math
 
n, m = map(int, input().split())
print(math.gcd(n,m))
print(math.lcm(n,m))

 

728x90
728x90

BOJ 2775 부녀회장이 될테야

문제

평소 반상회에 참석하는 것을 좋아하는 주희는 이번 기회에 부녀회장이 되고 싶어 각 층의 사람들을 불러 모아 반상회를 주최하려고 한다.

이 아파트에 거주를 하려면 조건이 있는데, 

“a층의 b호에 살려면 자신의 아래(a-1)층의 1호부터 b호까지 사람들의 수의 합만큼 사람들을 데려와 살아야 한다” 는 계약 조항을 꼭 지키고 들어와야 한다.

아파트에 비어있는 집은 없고 모든 거주민들이 이 계약 조건을 지키고 왔다고 가정했을 때, 

주어지는 양의 정수 k와 n에 대해 k층에 n호에는 몇 명이 살고 있는지 출력하라. 

단, 아파트에는 0층부터 있고 각층에는 1호부터 있으며, 0층의 i호에는 i명이 산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 번째 줄에 Test case의 수 T가 주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케이스마다 입력으로 첫 번째 줄에 정수 k, 두 번째 줄에 정수 n이 주어진다

출력

각각의 Test case에 대해서 해당 집에 거주민 수를 출력하라.

제한

1 ≤ k, n ≤ 14

예제 입력 1

2
1
3
2
3

예제 출력 1

6
10

풀이

# boj 2775 부녀회장이 될테야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t = int(input())

for _ in range(t):
    k = int(input())
    n = int(input())
    floor = [i for i in range(1,n+1)]
    
    for _ in range(k):
        for j in range(1,n):
            floor[j] += floor[j-1]
            
    print(floor[-1])
728x90
728x90

BOJ 1085 직사각형에서 탈출

문제

한수는 지금 (x, y)에 있다. 

직사각형은 각 변이 좌표축에 평행하고, 왼쪽 아래 꼭짓점은 (0, 0), 오른쪽 위 꼭짓점은 (w, h)에 있다. 

직사각형의 경계선까지 가는 거리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2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 x, y, w, h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의 정답을 출력한다.

제한

1 ≤ w, h ≤ 1,000
1 ≤ x ≤ w-1
1 ≤ y ≤ h-1
x, y, w, h는 정수

예제 입력 1

6 2 10 3

예제 출력 1

1

예제 입력 2

1 1 5 5

예제 출력 2

1

예제 입력 3

653 375 1000 1000

예제 출력 3

347

예제 입력 4

161 181 762 375

예제 출력 4

161

풀이

# boj 1085 직사각형에서 탈출

x, y, w, h = map(int, input().split())
print(min(w-x, h-y, x, y))
728x90
728x90

BOJ 1193 분수찾기

문제

무한히 큰 배열에 다음과 같이 분수들이 적혀있다.
1/1 1/2 1/3 1/4 1/5
2/1 2/2 2/3 2/4
3/1 3/2 3/3
4/1 4/2
5/1
이와 같이 나열된 분수들을 1/1 → 1/2 → 2/1 → 3/1 → 2/2 → … 과 같은 지그재그 순서로 차례대로 1번, 2번, 3번, 4번, 5번, … 분수라고 하자.

X가 주어졌을 때, X번째 분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0.5 초
메모리 제한 : 256 MB

입력

첫째 줄에 X(1 ≤ X ≤ 10,000,000)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분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예제 출력 1

1/1

예제 입력 2

2

예제 출력 2

1/2

예제 입력 3

3

예제 출력 3

2/1

...

예제 입력 8

8

예제 출력 8

2/3

예제 입력 9

9

예제 출력 9

3/2

예제 입력 10

14

예제 출력 10

2/4

풀이

# boj 1193 분수찾기

x = int(input())
i = 1
while(True):
  if (x-i > 0):
    x -= i
    i += 1
  else:
    break
if (i+1)%2 == 1:
  print(f'{x}/{i-(x-1)}')
else:
  print(f'{i-(x-1)}/{x}')
728x90
728x90

BOJ 1929 소수 구하기

문제

M이상 N이하의 소수를 모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2 초
메모리 제한 : 256 MB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M과 N이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M ≤ N ≤ 1,000,000) 

M이상 N이하의 소수가 하나 이상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한 줄에 하나씩, 증가하는 순서대로 소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16

예제 출력 1

3
5
7
11
13

풀이

# boj 1929 소수 구하기

m, n = map(int, input().split())
chk = [False] * (n+1)
chk[1] = True

for i in range(2, n+1):
    if chk[i]: continue
    for j in range(i*2, n+1, i):
        chk[j] = True

for k in range(m, n+1):
    if not chk[k]:
        print(k)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