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장비 구성 흐름: L2 ~ L7 역할별 정리
보안 인프라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은 OSI 7계층을 기준으로 각각의 역할을 수행한다.
장비를 도입하거나 구성 흐름을 이해할 때 이 계층별 역할 구분은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이 글에서는 L2부터 L7까지 각 계층에서 주로 사용되는 장비의 기능과 역할을 개념 중심으로 정리한다.
L2 계층 – 스위치 (Switch)
스위치는 OSI 2계층인 데이터링크 계층에 해당하며,
MAC 주소 기반으로 트래픽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같은 네트워크 내 장비 간 통신을 담당
- VLAN을 통해 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분리할 수 있음
- 단독 보안 장비는 아니지만, 스위치 수준의 보안 설정(MAC filtering, 포트 보안 등)이 존재
L3 계층 – 라우터 (Router) 또는 L3 스위치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 트래픽을 전달하며 IP 주소 기반 경로 설정을 수행한다.
L3 스위치도 라우팅 기능을 포함하는 장비로, 내부망 간 구간 분리에 사용된다.
- 내부망과 외부망 간 연결
- 경로 설정, NAT, ACL 등 네트워크 제어 기능 수행
- 경우에 따라 VPN 터널 종단 역할도 가능
L3~L4 계층 – 방화벽 (Firewall)
방화벽은 IP, 포트 기반의 정책을 통해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보안 장비다.
상태 기반 검사(Stateful Inspection)를 수행하며, 네트워크 보안의 핵심 역할을 한다.
- Source/Destination IP와 Port 기준으로 정책 설정
- TCP 세션 기반 상태 추적
- VPN, NAT, 로깅 등 다양한 기능이 통합된 경우가 많음
L5~L6 계층 – IPS/IDS (침입 탐지/차단 시스템)
IPS(침입 방지 시스템)는 패킷 내용을 분석해 알려진 공격 패턴이 감지되면 트래픽을 차단한다.
IDS(침입 탐지 시스템)는 동일한 탐지를 수행하지만, 트래픽을 차단하지 않고 탐지 로그만 남긴다.
- 시그니처 기반 공격 탐지 (예: SQL Injection, 쉘코드 등)
- 트래픽 실시간 분석
- 방화벽 통과 이후 내부 공격 탐지를 위한 레이어
※ IPS는 실시간 인라인(in-line) 모드로 구성되고, IDS는 미러링된 트래픽 기반으로 패시브 모니터링
L7 계층 – WAF (Web Application Firewall)
WAF는 웹 트래픽을 대상으로 작동하는 보안 장비로,
HTTP, HTTPS 요청의 내용을 분석해 웹 공격을 탐지하고 차단한다.
- SQL Injection, XSS, URL 기반 우회 공격 등 탐지
- 웹 서버 앞 단에 위치
- API 보호, 로그인 우회 차단 등도 주요 기능
정리
- 보안 인프라는 OSI 계층에 따라 여러 장비가 단계적으로 구성됨
- L2~L3: 기본 통신과 라우팅, 네트워크 연결 담당
- L4: 방화벽이 세션 기반 정책 적용
- L5~6: IPS가 패킷 수준 탐지 및 차단
- L7: WAF가 웹 트래픽 전용 보안 기능 수행
- 각 장비는 기능이 중첩되기도 하며, 통합 장비(UTM, NGFW 등)로 구현되는 경우도 많음
'Network &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 Security] 방화벽 Zone 구조와 정책 처리 원리 (0) | 2025.06.23 |
---|---|
[Network & Security] VPN 인증 방식의 종류와 특징 (0) | 2025.06.10 |
[Network & Security] VPN이란? 구조와 역할 정리 (0) | 2025.05.26 |
[Network & Security] Zone 기반 방화벽 정책 구성과 트래픽 흐름 (0) | 2025.05.19 |
[Network & Security] 패킷 필터링과 상태 기반 검사의 차이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