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SL VPN 구조 및 동작 방식
SSL VPN은 별도의 전용 장비 없이도
웹 브라우저나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통해 원격에서 내부망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는 VPN 방식이다.
기존의 IPSec VPN이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반면,
SSL VPN은 전송 계층(TCP/443)에서 동작하며, HTTPS 기반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SSL VPN의 구성 방식
SSL VPN은 접근 방식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 포털 방식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근
사용자는 내부 웹 시스템(메일, 그룹웨어 등)에만 제한적으로 접근 가능 - 터널 방식
전용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여 VPN 터널을 생성
내부망의 특정 서버, IP 자원 등에 직접 접근 가능
실제 업무 환경에서는 보안성과 활용성을 고려해 대부분 터널 방식을 사용한다.
동작 방식 요약
SSL VPN의 기본 흐름은 다음과 같다.
- 사용자 인증
클라이언트가 VPN 장비에 HTTPS로 접속
ID/비밀번호, 인증서, OTP 등으로 사용자 인증 수행 - 암호화된 세션 생성
TLS/SSL을 통해 세션 키를 교환하고 보안 채널 설정 - VPN 터널 생성 및 내부망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클라이언트 장비에 가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생성되고,
내부 IP가 할당되어 내부망 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
장점과 제약
- 장점
별도 장비나 방화벽 포트 설정 없이 443 포트만으로 통신 가능
네트워크 환경 제약이 적어 재택, 모바일 환경에 유리 - 제약
성능은 IPSec보다 낮은 경우가 있음
파일 공유나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등 일부 기능에 제한 발생 가능
정리
SSL VPN은 HTTPS 기반의 암호화 통신을 통해
외부 사용자에게 내부망 접속을 가능하게 해주는 전송 계층 VPN 방식이다.
포털 모드와 터널 모드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기업 환경에서는 터널 방식이 사용된다.
클라이언트를 통해 인증과 터널 연결을 수행하고,
기본 포트가 443이기 때문에 별도 방화벽 설정 없이도 접속이 가능하다.
'Network &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twork & Security] NAC란 무엇인가 (0) | 2025.08.21 |
|---|---|
| [Network & Security] SSL VPN과 IPSec VPN의 차이점 (2) | 2025.08.01 |
| [Network & Security] IPSec VPN 구조 및 프로토콜 흐름 (1) | 2025.07.21 |
| [Network & Security] 보안장비 구성 흐름: L2 ~ L7 역할별 정리 (0) | 2025.07.08 |
| [Network & Security] 방화벽 Zone 구조와 정책 처리 원리 (0) | 2025.06.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