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
반응형

BOJ 15596 정수 N개의 합

문제

정수 n개가 주어졌을 때, n개의 합을 구하는 함수를 작성하시오.

작성해야 하는 함수는 다음과 같다.

C, C11, C (Clang), C11 (Clang): long long sum(int *a, int n);
a: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 n개가 저장되어 있는 배열 (0 ≤ a[i] ≤ 1,000,000, 1 ≤ n ≤ 3,000,000)
n: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의 개수
리턴값: a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 n개의 합

C++, C++11, C++14, C++17, C++ (Clang), C++11 (Clang), C++14 (Clang), C++17 (Clang): long long sum(std::vector<int> &a);
a: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 n개가 저장되어 있는 배열 (0 ≤ a[i] ≤ 1,000,000, 1 ≤ n ≤ 3,000,000)
리턴값: a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 n개의 합

Python 2, Python 3, PyPy, PyPy3: def solve(a: list) -> int
a: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 n개가 저장되어 있는 리스트 (0 ≤ a[i] ≤ 1,000,000, 1 ≤ n ≤ 3,000,000)
리턴값: a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 n개의 합 (정수)

Java: long sum(int[] a); (클래스 이름: Test)
a: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 n개가 저장되어 있는 배열 (0 ≤ a[i] ≤ 1,000,000, 1 ≤ n ≤ 3,000,000)
리턴값: a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 n개의 합

Go: sum(a []int) int
a: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 n개가 저장되어 있는 배열 (0 ≤ a[i] ≤ 1,000,000, 1 ≤ n ≤ 3,000,000)
리턴값: a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 n개의 합

시간 제한 : 0.1 초
메모리 제한 : 512 MB

풀이

# boj 15596 정수 N개의 합

def solve(n):
    return sum(n)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BOJ 10872 팩토리얼

문제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이때, N!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256 MB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0 ≤ N ≤ 12)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N!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1

10

예제 출력1

3628800

예제 입력2

0

예제 출력2

1

풀이

# boj 10872 팩토리얼

def factorial(n):
    res = 1
    if n > 0 :
        res = n * factorial(n-1)
    return res

n = int(input())
print(factorial(n))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BOJ 2908 상수

문제

상근이의 동생 상수는 수학을 정말 못한다. 상수는 숫자를 읽는데 문제가 있다. 

이렇게 수학을 못하는 상수를 위해서 상근이는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를 내주었다.

상근이는 세 자리 수 두 개를 칠판에 써주었다. 그 다음에 크기가 큰 수를 말해보라고 했다.

상수는 수를 다른 사람과 다르게 거꾸로 읽는다.

예를 들어, 734와 893을 칠판에 적었다면, 상수는 이 수를 437과 398로 읽는다. 

따라서, 상수는 두 수중 큰 수인 437을 큰 수라고 말할 것이다.

두 수가 주어졌을 때, 상수의 대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칠판에 적은 두 수 A와 B가 주어진다. 

두 수는 같지 않은 세 자리 수이며, 0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출력

첫째 줄에 상수의 대답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734 893

예제 출력 1

437

예제 입력 2

221 231

예제 출력 2

132

예제 입력 3

839 237

예제 출력 3

938

풀이

# boj 2908 상수

a, b = input().split()
a = a[::-1]
b = b[::-1]
print(max(a, 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BOJ 4344

문제

대학생 새내기들의 90%는 자신이 반에서 평균은 넘는다고 생각한다. 

당신은 그들에게 슬픈 진실을 알려줘야 한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256 MB

입력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C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학생의 수 N(1 ≤ N ≤ 1000, N은 정수)이 첫 수로 주어지고, 이어서 N명의 점수가 주어진다.

점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각 케이스마다 한 줄씩 평균을 넘는 학생들의 비율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5 50 50 70 80 100
7 100 95 90 80 70 60 50
3 70 90 80
3 70 90 81
9 100 99 98 97 96 95 94 93 91

예제 출력 1

40.000%
57.143%
33.333%
66.667%
55.556%

풀이

# boj 4344 평균은 넘겠지

c = int(input())

for i in range(c):
    cnt = 0 
    arr = list(map(int, input().split()))
    avg = sum(arr[1:]) / arr[0]
    for j in arr[1:]:
        if j > avg:
            cnt += 1
    print(f'{cnt/arr[0]*100:.3f}%')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BOJ 3052 나머지

문제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 A%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 이다.

예를 들어, 7, 14, 27, 38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 2, 0, 2이다. 

수 10개를 입력받은 뒤, 이를 4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그 다음 서로 다른 값이 몇 개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부터 열번째 줄 까지 숫자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이 숫자는 1,000보다 작거나 같고, 음이 아닌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42로 나누었을 때, 서로 다른 나머지가 몇 개 있는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2
3
4
5
6
7
8
9
10

각 수를 42로 나눈 나머지는 1, 2, 3, 4, 5, 6, 7, 8, 9, 10이다.

예제 출력 1

10

예제 입력 2

42
84
252
420
840
126
42
84
420
126

모든 수를 42로 나눈 나머지는 0이다.

예제 출력 2

1

예제 입력 3

39
40
41
42
43
44
82
83
84
85

각 수를 42로 나눈 나머지는 39, 40, 41, 0, 1, 2, 40, 41, 0, 1이다. 서로 다른 값은 6개가 있다.

예제 출력 3

6

풀이

# boj 3052 나머지

arr = []
for i in range(10):
    n = int(input())
    if n % 42 not in arr:
        arr.append(n % 42)

print(len(arr))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BOJ 2577 숫자의 개수

문제

세 개의 자연수 A, B, C가 주어질 때 A × B × C를 계산한 결과에 

0부터 9까지 각각의 숫자가 몇 번씩 쓰였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A = 150, B = 266, C = 427 이라면 A × B × C = 150 × 266 × 427 = 17037300 이 되고, 

계산한 결과 17037300 에는 0이 3번, 1이 1번, 3이 2번, 7이 2번 쓰였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 A, 둘째 줄에 B, 셋째 줄에 C가 주어진다.

A, B, C는 모두 1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는 A × B × C의 결과에 0 이 몇 번 쓰였는지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둘째 줄부터 열 번째 줄까지 A × B × C의 결과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몇 번 쓰였는지 차례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50
266
427

예제 출력 1

3
1
0
2
0
0
0
2
0
0

풀이

# boj 2577 숫자의 개수

a = int(input())
b = int(input())
c = int(input())
res = list(str(a * b * c))

for i in range(10):
    print(res.count(str(i)))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BOJ 1546 평균

문제

세준이는 기말고사를 망쳤다. 세준이는 점수를 조작해서 집에 가져가기로 했다. 

일단 세준이는 자기 점수 중에 최댓값을 골랐다. 이 값을 M이라고 한다.

그리고 나서 모든 점수를 점수/M*100으로 고쳤다.

예를 들어, 세준이의 최고점이 70이고, 수학점수가 50이었으면 수학점수는 50/70*100이 되어 71.43점이 된다.

세준이의 성적을 위의 방법대로 새로 계산했을 때, 새로운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2 초 
메모리 제한 : 128 MB

입력

첫째 줄에 시험 본 과목의 개수 N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에 세준이의 현재 성적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값은 0보다 크다.

출력

첫째 줄에 새로운 평균을 출력한다. 

실제 정답과 출력값의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가 10-2 이하이면 정답이다.

예제 입력 1

3
40 80 60

예제 출력 1

75.0

예제 입력 2

3
10 20 30

예제 출력 2

66.666667

예제 입력 3

4
1 100 100 100

예제 출력 3

75.25

...생략

예제 입력 6

4
10 20 0 100

예제 출력 6

32.5

예제 입력 7

1
50

예제 출력 7

100.0

예제 입력 8

9
10 20 30 40 50 60 70 80 90

예제 출력 8

55.55555555555556

풀이

# boj 1546 평균

n = int(input())
arr = list(map(int, input().split()))
avg = 0

for i in range(n):
    avg += arr[i] / max(arr) * 100
    
print(avg / n)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BOJ 11720 숫자의 합

문제

N개의 숫자가 공백 없이 쓰여있다. 

이 숫자를 모두 합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시간 제한 : 1 초
메모리 제한 : 256 MB

입력

첫째 줄에 숫자의 개수 N (1 ≤ N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 숫자 N개가 공백없이 주어진다.

출력

입력으로 주어진 숫자 N개의 합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1

예제 출력 1

1

예제 입력 2

5
54321

예제 출력 2

15

예제 입력 3

25
7000000000000000000000000

예제 출력 3

7

예제 입력 4

11
10987654321

예제 출력 4

46

풀이

# boj 11720 숫자의 합

n = int(input())
s = input()
res = 0

for i in range(len(s)):
    res += int(s[i])

print(res)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